고성 사당제 ( )

민속·인류
의례·행사
12월 말부터 그 이듬해 정월 보름 전까지 강원도 고성군의 사당에서 행하던 민간의식. 사당제.
정의
12월 말부터 그 이듬해 정월 보름 전까지 강원도 고성군의 사당에서 행하던 민간의식. 사당제.
개설

강원도 고성군의 사당에서 12월 말부터 그 이듬해 정월 보름 전까지 신가면(神假面)을 쓰고 도무(蹈舞)하면서 관아와 촌가(村家)를 다니던 의식이다.

내용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의하면, 고성군의 사당에서 매달 초하루와 보름이 되면 관제(官祭)를 지냈다. 비단으로 만든 신가면을 사당에 걸어두면 12월 24일 이후에 고을 사람에게 신이 내렸고, 신이 오른 사람은 그 가면을 쓰고 도무하며 관아 내부와 촌가마다 돌아다녔다고 한다. 주민들은 이러한 신을 맞이해서 즐겼지만, 정월 보름 전에는 그 신을 당으로 돌려보냈다고 한다. 이 의식은 해마다 있었는데, 나신(儺神)의 일종이라고 한다.

의의와 평가

고성사당제는 후대에 신이 하강한다는 종교의례적 의미를 점차 상실하고, 오락적 측면이 부각되어 연행예술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방상시(方相氏)의 구나적(驅儺的) 의미나 강릉관노가면극의 시시딱딱이, 또는 하회별신굿의 탈놀이와 같은 벽사제의적 성격을 지녔다는 견해도 있다.

참고문헌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강원전통문화총서: 민속』(김의숙·전상국, 국학자료원, 1997)
『강릉관노가면극연구』(장정룡, 집문당, 1989)
『한국농경세시의 연구: 농경의례의 문화인류학적 고찰』(김택규, 영남대학교출판부, 1985)
『한국민속문예론』(김택규, 일조각, 1980)
집필자
목진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