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가사 ()

고전시가
문헌
조선후기 강복중의 시조와 가사를 수록한 시가집.
이칭
이칭
청계망사공유사가사(淸溪妄士公遺事歌詞), 청계유사(淸溪遺事)
정의
조선후기 강복중의 시조와 가사를 수록한 시가집.
구성 및 형식

표지에는 “청계유사(淸溪遺事) 권지이(卷之二)”라 적혀 있고, 목록과 본문 시작 부분에는 “청계망사공유사가사(淸溪妄士公遺事歌詞)”라 되어 있다. 28.5×19.5㎝(세로×가로) 크기에 총 31장으로 되어 있는 필사본이다. 1면은 12행으로 되어 있고, 1행에는 20자씩 규칙적으로 적혀 있다. 간혹 글자를 적지 않고 비워 둔 부분이 있다. 책의 끝에 현손(玄孫) 강황(姜璜)이 써서 붙인 〈가사후(歌詞後)〉를 통해, 원본을 필사한 지 오래되어 상태가 좋지 못하여 이를 다시 옮겨 적은 전사본임을 알 수 있다.

내용

이 책에는 시조 86수와 가사 2편이 실려 있다. 가사는 2편 모두 강복중의 작품이며, 시조는 86수 중 65수가 강복중의 작품이다. 나머지 21수 중 5수는 이미(李瀰)의 작품이고, 16수는 정철(鄭澈, 1536∼1593)의 〈훈민가(訓民歌)〉이다. 후반에는 지인들과 주고받은 서찰 16폭과 한시 6수가 함께 수록되어 있다. 시조 65수 중 가장 주목되는 것은 〈수월정청흥가(水月亭淸興歌)〉 21수다. 이 작품은 강복중이 죽기 1년 전인 1638년(인조 16)에 지은 것으로 그가 마지막으로 의탁한 갈마산 수월정 주변의 자연과 그 속에서 느끼는 삶에 대한 감회를 읊은 것이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시조들은 특정 인물과의 인연을 강조하거나 자신과 가문의 처지를 한탄하는 작품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편 가사 2편 중 〈위군위친통곡가(爲君爲親痛哭歌)〉는 임진·병자 양란 후의 피폐해진 사회상과 이를 바라보는 화자의 연군(戀君)·우국(憂國)의 정을 표현한 것이고, 〈분산회복사은가(墳山恢復謝恩歌)〉는 산송(山訟)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과정과 충청감사 이안눌(李安訥, 1571∼1637)의 도움으로 선산을 회복한 것을 노래한 작품이다.

의의와 평가

17세기 초반 충청도 은진(지금의 논산)에 거주하던 사족인 강복중의 시조와 가사를 수록한 이 책은 16세기 재지사족의 시가와 구별되는 성격의 작품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참고문헌

「청계 강복중 시조 연구」(백순철, 『한국시가연구』, 2002)
「강복중 시조에 나타난 갈등과 한계 상황」(박길남, 『순천향어문논집』 7, 2001)
「강복중 시조 연구」(이상원, 『한국시가연구』 1, 1997)
「강복중의 가사와 향반의식」(한창훈, 『한국가사문학연구』, 1995)
「강청계의 장가 2편에 대하여─〈위군위친통곡가〉 〈분산회복사은가〉 소개」(강전섭, 『어문학』 22, 1970)
「청계가사 중의 단가에 대하여」(강전섭, 『어문학』 19, 1968)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