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월정청흥가 ()

목차
고전시가
작품
조선 인조 때 강복중(姜復中)이 지은 시조.
목차
정의
조선 인조 때 강복중(姜復中)이 지은 시조.
내용

조선 인조 때 강복중(姜復中)이 지은 시조. 21수의 연시조로, 강전섭(姜銓爕) 소장본 ≪수월정청흥가첩 水月亭淸興歌帖≫(晉山姜氏世譜草 附錄)과 강원기(姜遠起) 소장본 ≪청계망사공유사가사 淸溪妄士公遺事歌詞≫에 수록되어 전해오고 있다.

강복중은 때를 만나지 못하여 산림에만 묻혀 살았던 은일(隱逸)이었으나 많은 시조와 가사를 지은 것이 알려짐으로써 조선 중기의 전형적인 작가로서 새로이 각광을 받게 된 것이다.

<수월정청흥가> 21수는 대둔산의 물줄기인 청계천(淸溪川)가에 자리잡은 수월정(水月亭)의 아름다운 경치를 사랑하며 비록 가난하게 생활하지만 분수에 맞게 살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가사(歌辭)는 ‘내 마음 둘 대 없어’ 시름을 달래기 위하여 제작하는 것임을 강조하였다는 면에서 주목된다. 그 작품을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내 마음 둘 대 없어 가사(歌辭)를 제작(製作)하니

정대군자(正大君子)는 다 옳다 하내마는

어떻다 폐일부운류(蔽日浮雲類)는 이도 외다 하나니.

참고문헌

『교본역대시조전서(校本歷代詩調全書)·시조의 문헌적연구』(심재완, 세종문화사, 1972)
「청계가사(淸溪歌詞) 중의 단가(短歌)에 대하여」(강전섭, 『어문학』 19, 1968)
「청계시조(淸溪時調)의 풍자론(諷刺論) 시고」(조성래, 『김영수교수회갑기념논총』, 1993)
「강복중시조연구」(이상원, 『한국시가연구』 창간호, 1997)
집필자
강전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