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중용도가 ()

금강중용도가
금강중용도가
고전시가
문헌
조선후기 문신 김이익이 유배지인 금갑도에서 1821년에 저술한 가사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문신 김이익이 유배지인 금갑도에서 1821년에 저술한 가사집.
서지적 사항

1책(61장). 필사본.

내용

체재는 한문으로 지은 <금강중용도가서 金剛中庸圖歌序>와 그 한글번역인 <금강쥬ᇰ용도가서>, 그리고 <금강중용도가> 및 그 한문번역으로 되어 있다.

<금강중용도가서>는 산문인 데 비해 <금강중용도가>는 가사이다. 4음보 1구로 계산하면 전체 285구이며, 음수율에서는 3·4조와 4·4조가 우세하지만 다른 종류의 음수율도 많이 보인다.

<금강중용도가서>에서는, 금갑도(金甲島)의 귀향살이 6년 동안에 짓고 필사한 글이 40여 책이 되는데, 자신이 유배지로부터 돌아올 때에 가지고 온 것은 자손들로 하여금 자신의 경력을 알게 하려 함이라는 의도를 밝히고 있다.

또한 <금강중용도가서>에 따르면, 원고본 <금강중용도가>는 분실되고 황씨 부인의 전사본에 의거해서 저자가 재정리하였음을 알 수 있다.

<금강중용도가>의 내용은 5단으로 짜여져 있다. 제1단에서는 청춘시절을 다 허송하고 만년에 유배지에서 지나간 일을 후회한들 무슨 소용이 있는가 한탄하면서, 몇 해 만에 얻어 본 ≪중용서≫ 한 권이 조리가 정연한 책이더라는 것을 노래하였다.

제2단에서는 ≪중용서≫가 중국에서 정리되고, 그것이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송시열(宋時烈)로 이어졌으나, 송시열이 죽은 지 백여년에 그 정통을 이은 자가 누구냐고 묻고, 주나라 무왕(武王) 후에 끊긴 도통(道統)이 정조에서 다시 밝았으나 49세로 단명하였음을 한탄하였다.

제3단에서는 작가가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40세 후에 통적(統籍 : 궁문의 출입을 허락한 門籍)에 올라, 17년간 성주(聖主)를 모셨으나, 이제는 죄인이 되어 금갑도에 유배되었음을 묘사하였다.

제4단에서는 유배지에서 ≪주역≫ 한 질을 얻어 훈고(訓詁)까지 정리하여 5권으로 매어 몽중의 금강(金剛) 두 글자를 가져다가 제목으로 하여 읽어보려 하였으나, 동짓달 어려움으로 고생하였음을 진술하였다.

제5단에서는 겨울이 지나 봄이 되어, 주인이 ≪중용≫을 한 권 얻어주어 그 내용을 그림으로 그려내는데, 몇 마디 되지 않으나 오묘한 논지가 어렴풋이 드러나므로, 애지중지하며 차마 감히 손에서 떼지 못하겠다고 술회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당시의 시대상 및 사회상과 사대부의 유배생활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며, 역사의 이면, 즉 정조의 사망원인에 대해 살필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작자의 종손 태진(泰鎭)이 소장하고 있다.

참고문헌

「금강중용도가에 대하여」(강전섭, 『한국학보』 40, 일지사, 1985)
「금강중용도가」(강전섭, 『향토연구』 2, 충남향토연구회, 1986)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