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별곡 ()

명촌유고 / 금강별곡 / 박순우
명촌유고 / 금강별곡 / 박순우
고전시가
작품
1739년(영조 15)박순우(朴淳愚)가 지은 기행가사.
이칭
이칭
금강별곡 기미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739년(영조 15)박순우(朴淳愚)가 지은 기행가사.
구성 및 형식

단권. 한글필사본. ‘금강별곡 기미본’이라고도 한다. 시조 6수가 수록된 「동유록(東遊錄)」과 함께 작자의 문집 『명촌유고(明村遺稿)』에 실려 있다.

1739년 작자가 금강산을 구경하며 지은 작품으로, 구성은 본문이 6장 200구로서 그 중 38구는 4·4조이고, 나머지는 3·4조이다. 끝에 결사(結詞)가 붙어 모두 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내용은 제1장에서 금강산 답사의 동기를 적고, 심신이 유유하고 산수벽(山水癖)이 있음을 노래하고 있으며, 제2장은 그의 고향 전라도 영암의 소금강 답사로, 소금강으로써 대금강산을 상상하고 있다.

제3장은 상경응과(上京應科)와 그 행차를 노래하고 있으며, 제4장은 내금강 탐승으로, 서울 동대문을 출발하여 금강산에 이르는 광경을 읊고 있다.

제5장은 외금강 탐승으로, 내금강 일출월출(日出月出)과 영랑봉을 경계로 외금강을 노래하고 있으며, 제6장은 남방의 내금강 탐승으로, 동으로 외금강을 출발하여 다시 남으로 내금강을 유람하며 그 경개를 읊고 있다.

끝으로 결사는 금강산을 떠나려 하니 연연불망, 그 아쉬운 정을 이기지 못하여 죽기 전에 다시 한번 찾아오겠다고 읊고 있다.

의의와 평가

대부분의 금강산 기행가사들이 서울을 시발점으로 하고 있는 데 비하여, 이 작품은 영암을 시발점으로 하고 있는 점과 영암의 소금강 답사, 과거응시의 행장을 포함하고 있는 점이 특색이다.

참고문헌

『명촌유고(明村遺稿)』
「명촌박순우(明村朴淳愚)의 금강별곡(金剛別曲)」(김성배, 『무애양주동박사화탄기념논문집』, 1963)
「낙은별곡(樂隱別曲)의 연구(硏究)」(강전섭, 『가사문학연구』, 정음사, 1979)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