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월령가 ()

목차
관련 정보
농가월령가(1월령)
농가월령가(1월령)
고전시가
작품
조선 헌종 때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헌종 때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가사.
내용

조선 헌종 때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가사. 1책. 필사본. 월령체(月令體) 장편가사이다. 작자가 고상안(高尙顔)이라는 설도 있었으나, 정학유로 고증되었다. 필사 이본으로는 권경호본(權卿鎬本, 1876)·이탁본(李鐸本)·정규영본(丁奎英本, 1925)·안춘근본(安春根本)·이능우본(李能雨本) 등이 전하고 있다.

전체 14단락으로 되어 있다. 12달의 12단락 전후에 서사단락(序詞段落)과 결사단락(結詞段落)이 부가된 것이다.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서사 34구, 정월령 78구, 2월령 54구, 3월령 100구, 4월령 68구, 5월령 94구, 6월령 100구이다. 다시 7월령 72구, 8월령 76구, 9월령 70구, 10월령 146구, 11월령 52구, 12월령 40구, 결사 48구 등으로 전체 1,032구이다.

음수율은 3·4조와 4·4조가 주축이며, 2·4조, 3·3조, 2·3조 등도 약간 등장한다. 단락별 내용을 보면, 먼저 서사에서는 일월성신의 운행과 역대(歷代)의 월령(月令) 및 그 당시에 쓰이는 역법(曆法)의 기원을 설명하였다.

정월령에서는 맹춘(孟春)인 정월의 절기와 일년 농사준비, 정조(正朝)의 세배와 풍속, 그리고 보름날의 풍속 등을 보여주고 있다. 2월령에서는 중춘(仲春)인 2월의 절기와 춘경(春耕)과 가축기르기, 그리고 약재(藥材) 캐기 등을 묘사하고 있다.

3월령에서는 모춘(暮春)인 3월의 절기와 논농사 및 밭농사의 파종, 과일나무 접붙이기, 장담그기 등을 노래하고 있다. 4월령에서는 맹하(孟夏)인 4월의 절기, 이른 모내기, 간작(間作)·분봉(分蜂)·팔일현등(八日懸燈)·천렵(川獵) 등을 노래하고 있다.

5월령에서는 중하(仲夏)인 5월의 절기와 보리타작·고치따기·그네뛰기·민요화답 등을 보여주고 있다. 6월령에서는 계하(季夏)인 6월의 절기와 간작·북돋우기, 유두의 풍속, 장 관리, 삼 수확, 길쌈 등을 노래하고 있다.

7월령에서는 맹추(孟秋)인 7월의 절기와 칠월칠석 견우직녀의 이별과 비, 김매기·피고르기, 선산(先山)의 벌초(伐草)하기, 겨울을 위한 야채준비 및 김장할 무·배추의 파종 등을 보여주고 있다.

8월령에서는 중추(仲秋)인 8월의 절기와 백곡(百穀)의 무르익음과 수확, 중추절을 위한 장 흥정, 며느리의 친정 근친(覲親) 등을 노래하고 있다.

9월령에서는 계추(季秋)인 9월의 절기와 늦어지는 가을 추수의 이모저모, 그리고 풍요함 속에 피어나는 이웃간의 온정을 노래하고 있다. 10월령에서는 맹동(孟冬)인 10월의 절기와 무·배추 수확, 겨울 준비, 가내 화목, 한 동네의 화목 등을 권하고 있다.

11월령에서는 중동(仲冬)인 11월의 절기, 메주쑤기, 동지의 풍속, 가축기르기, 거름 준비 등을 노래하고 있다. 12월령에서는 계동(季冬)인 12월의 절기, 새해 준비, 묵은 세배 등을 묘사하고, 결사에서는 농업에 힘쓰기를 권장하고 있다.

농가에서 행해진 행사와 세시풍속은 물론, 그 당시 미덕의 세목들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동시에 농가(農家)를 읊은 시가 중에서 양적·질적으로 이 작품을 능가할 작품은 거의 없는 듯하다.

특히, 표현된 내용은 한 폭의 농촌생활을 눈 앞에 그려서 보이는 듯하게 서경적(敍景的)이고 흥취를 느끼게 한다. 그러나 농민이 스스로가 자신들의 생활을 노래한 것이 아니라는 점과, 교훈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부분이 많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지적될 수 있다.

참고문헌

「농가월령가의 작자에 대한 별견」(홍재휴, 『어문학』 4, 1959)
「농가월령가에 대한 연구」(이상보, 『명지어문학』 4, 1970)
「농가월령가·한양가」(박성의 교주, 『한국고전문학대계』 7, 민중서관, 1974)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