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뇌가 ()

고전시가
작품
13세기 초엽에 승려 혜심(慧諶)이 불교 선수행(禪修行)의 요체(要體)를 표현한 한시 작품.
이칭
이칭
우희조가(憂喜鳥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3세기 초엽에 승려 혜심(慧諶)이 불교 선수행(禪修行)의 요체(要體)를 표현한 한시 작품.
구성 및 형식

5언(言) 10구(句)의 한시 작품으로서, 시상이 10구체 향가(鄕歌) 작품들과 같이 3단 구조(제1∼4구, 제5∼8구, 제9∼10구)로 이루어졌다.

내용

혜심(1178∼1234, 호 無衣子, 시호 眞覺國師)은 지눌(知訥)의 제자로서 스승의 뒤를 이어 수선사(修禪社)의 제2대 사주(社主)가 되어 교세를 확장한 고려 후기의 승려이다. 그의 저서 『무의자시집(無衣子詩集)』 권상(卷上)에 실려 있는 「기사뇌가」는 다음과 같다.

“君看憂喜鳥/ 高在碧山嶠/ 聞世可笑事/ 放聲時一笑/ 偶隨‘貧’[‘貪’의 오자]肉鴟/ 聚落遠遊嬉/ 忽爾入羅網/ 出身無可期/ 心生須托境/ 窮谷宜捿遲”(그대, 우희조를 보라./ 푸른 산마루에 높이 있으면서/ 세상의 가소로운 일 들으면/ 소리 놓아 때로 비웃었다네./ 우연히 고기 탐하는 올빼미를 따라/ 마을로 멀리 가 놀고 즐기다가/ 갑자기 새그물에 들어/ 몸 빼낼 기약이 없다네./ 마음은 모름지기 장소에 의탁해 생기나니/ 깊은 산골짜기에서 느긋하게 사는 게 마땅하다네.)

‘기사뇌가’라는 이름의 작품 뒤에 ‘우희조가(憂喜鳥歌)’라는 별도의 이름이 붙어 있다. ‘우희조가’가 제재(題材)에 따른 작품명이고, ‘기사뇌가’는 작품의 성격이나 창작상황 등과 관련된 명칭(‘바둑을 두며 지은 사뇌가’ 등)으로서 그 속에 다른 제재에 관한 작품도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우희조가」는 잘못하여 큰 곤경에 빠진 우희조를 예로 들어서, 수행자에게 맞는 삶의 장소와 방식 등의 불교적 이치를 교시(敎示)하였는데, 그 주제는 ‘잘못된 마음이 생겨나지 않으려면, 궁벽한 골짜기에서 느긋하게(한가하게) 사는 것이 마땅하다’는 것이다. 불교에서의 깨달음을 위해 마음을 챙기는 수행법인 사념처(四念處)를 강조한 것이며, ‘우희조’는 근심과 기쁨 등의 감정의 속박을 벗어나지 못한 수행자를 비유한 표현으로 판단된다.

이 작품의 시상은 당시에 선수행의 지침으로 널리 쓰였던 당나라 현각(玄覺, 眞覺大師) 작 「영가진각대사증도가(永嘉眞覺大師證道歌)」(전 247구의 古體詩) 속의 시구(“君不見 …… 自從頓悟了無生 於諸榮辱何憂喜 入深山 住蘭若 岑崟幽邃長松下. 優游靜坐野僧家 闃寂安居實瀟灑 …….”) 등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의의와 평가

「기사뇌가」(또는 「우희조가」)는 10구체 향가 작품의 한역(漢譯)일 가능성도 없지 않지만, 창작 한시 작품일 가능성이 크다. 어느 경우든 간에 10구체 향가가 13세기 초엽까지도 시가계에 영향을 끼쳤음을 알려준다는 점 등에서 의의를 지닌다.

참고문헌

『무의자시집』(日本 駒澤大學 소장 필사본: 『한국불교전서』6, 한국불교전서편찬위원회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1984)
「사뇌가의 성격과 그 변천에 대한 시론」(성호경, 『시학과언어학』10, 시학과 언어학회, 2005)
「혜심의 ‘기사뇌가’에 대하여」(유영봉, 『한국한문학연구』20, 한국한문학회, 199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