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숙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한국광복군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이칭
이명
신봉빈(申鳳彬)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910년 5월 12일
사망 연도
1997년 7월 8일
출생지
평안북도 의주
주요 경력
한국광복군
대표 상훈
대통령 표창(1972)|건국포장(1977)
내용 요약

신정숙은 일제강점기 한국광복군으로 활동한 여성 독립운동가이다. 1941년 3월 1일 대한민국임시정부 청사에서 거행된 한국광복군 징모 제3분처 성립식에서 회계조장으로 임명되었고, 중국 장시성에 파견되어 초모 활동을 전개하였다. 1942년 10월 1일 징모 제3분처가 제2지대 제3구대 제3분대로 편성되자 제3분대원으로 초모 활동을 전개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한국광복군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가계 및 인적 사항

신정숙(申貞淑)은 1910년 5월 12일 평안북도 의주(義州) 갑부로 독립운동을 하던 신조준(申肇峻)의 딸로 태어났다. 전주 고등과를 졸업하였고, 1928년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면 신천리 출신의 장현근(張鉉瑾, 이명 송진표)과 혼인하였다.

주요 활동

신정숙의 남편 장형근은 독립운동을 위해 1929년 중국 상하이로 망명하였는데, 윤봉길 의거 다음 날인 1932년 4월 30일 일본군에 체포되어 6월 7일 안창호(安昌浩) · 김덕근(金德根) 등과 함께 국내로 호송되었다. 장형근은 주1 처분을 받고 1932년 7월 25일 서대문형무소에서 나와 중국으로 건너갔고, 신정숙은 40여 일의 남편 옥바라지를 통해 민족의식을 갖게 되었다.

신정숙은 1938년 중국으로 건너가 1941년 3월 1일 대한민국임시정부 청사에서 거행된 한국광복군 주2(徵募) 제3분처 성립식에서 회계조장으로 임명되었다. 당시 징모 제3분처 대원은 신정숙과 주임위원 겸 선전조장 김문호(金文鎬), 정보조장 이지일(李志一), 훈련조장 한도명(韓道明) 등 4명이었다.

임시정부는 한국광복군 창설 이전부터 독립군과 국내외 거주 한인, 일본군에 배속된 한인 등을 통해 군대 양성 계획을 세웠고,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설치 이후 주3 활동에 집중하였다. 초모 활동을 위한 별도의 기구로 5개의 징모 분처를 설치하였는데, 신정숙 등 징모 제3분처 대원들은 1941년 4월 10일 제3전구장관부(戰區長官部部) 소재지인 주4〔江西省〕 상요(上饒)에 도착하여 왕가원(汪家園)에 ‘대한민국임시정부 광복군 징모처 제3분처’라는 간판을 내걸고 본국과 일본, 만주(滿洲), 주5〔華北〕, 상하이, 주6〔南京〕 등지에 연락망을 설치하여 징모와 선전 공작을 진행하였다.

한도명이 병사하였지만, 신정숙 등 3명의 징모 제3분처 대원들은 반 년이 안 되어 23명을 초모하고 주7〔安徽省〕 각 처에 통신 거점을 마련하였다. 징모 제3분처는 연산(燕山), 숭안(崇安), 건양(建陽) 등지를 거쳐 주8〔福建省〕 남평(南平)으로 이동하였는데, 남평은 주9〔陝西省〕 주10〔西安〕에 있는 제2지대 본부와 거리가 멀어 통신 연락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없었기에 독자적으로 운영되었다.

1942년 4월 조선의용대가 한국광복군 제1지대로 편성되는 등 한국광복군의 조직이 개편되면서 1942년 10월 1일 징모 제3분처는 제2지대 제3구대(區隊) 제3분대(分隊)로 편성되었다. 「한국광복군 9개 행동준승」(韓國光復軍九個行動準繩)으로 빼앗아 간 한국광복군의 통수권을 임시정부가 요구하자 중국 군사위원회는 한국광복군을 점검하였는데, 1943년 7월 8일부터 7월 12일까지 제3분대를 조사한 중국 군사위원회는 제3분대의 대원 수를 21명으로 기록하였다. 그들은 신정숙과 김운경(金雲慶) · 왕영일(王英一) · 마춘림(馬春林) · 이지일(李志一) · 김형석(金享石) · 이명식(李明植) · 한덕원(韓德源) · 유명경(柳明慶) · 유상현(劉尙玄) · 이기심(李基深) · 진몽각(陳夢覺) · 증명(曾明) · 조동걸(趙東傑) · 최일영(崔日英) · 김운정(金雲廷) · 사중득(史中得) · 우증영(柳增榮) · 정봉수(鄭逢水) · 김의(金毅) 등이었다. 신정숙 등 제3분대는 1944년부터 푸젠성 건양에 근거지를 두고 항일 선전 및 초모 공작을 전개하였다.

상훈과 추모

1972년 대통령 표창을 받았고, 1977년 건국포장이 수여되었다. 1997년에 사망하여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44: 사진자료』(국사편찬위원회, 2011)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34: 한국독립당 II』(국사편찬위원회, 2009)
김광재, 『한국광복군』(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7)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9: 군무부』, (국사편찬위원회, 2006)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11: 한국광복군 II』(국사편찬위원회, 2006)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6: 임시의정원 V』(국사편찬위원회, 2005)
한시준, 『한국광복군 연구』(일조각, 1993)
『독립유공자공훈록』 5(국가보훈처, 1988)

논문

황선익, 「한국광복군의 병력 증강과 편제 개편」(『한국근현대사연구』 95, 한국근현대사학회, 2020)
한시준, 「여성광복군과 그들의 활동」(『사학지』 37, 단국대학교 사학회, 2005)
윤정란, 「1940년대 한국광복군 여성대원들의 입대동기와 역할」(『유관순연구』 3, 백석대학교 유관순연구소, 2004)
한시준, 「광복군의 지대별 편성과 활동」(『백범과 민족운동연구』 2, 백범학술원, 2004)

인터넷 자료

충북 여성독립운동가(https://www.chungbuk.go.kr/cbwia/index.do)
주석
주1

검사가 형사 사건에 대하여 범죄의 혐의를 인정하나 범인의 성격ㆍ연령ㆍ환경, 범죄의 경중ㆍ정상, 범행 후의 정황 따위를 참작하여 공소를 제기하지 않는 일.    우리말샘

주2

국가에서 특별한 일에 필요한 사람을 불러 모음.    우리말샘

주3

사람을 불러 모음.    우리말샘

주4

중국 양쯔강(揚子江) 남쪽에 있는 성. 곡류ㆍ목화ㆍ담배 따위가 나며, 징더전(景德鎭)의 도자기가 유명하다. 성도(省都)는 난창(南昌), 면적은 16만 4800㎢.    우리말샘

주5

중국의 북부 지방. 베이징과 허베이성(河北省), 산시성(山西省), 톈진(天津), 네이멍구 자치구(內蒙古自治區) 등으로 이루어졌다.    우리말샘

주6

중국 장쑤성(江蘇省) 서남쪽에 있는 도시. 양쯔강(揚子江) 하류 연안에 있는 수륙 교통의 요충지이며, 역대 왕조의 도읍지로 명승고적이 많다. 1928년에 국민당(國民黨) 정부의 수도가 된 후에 중국의 정치, 군사, 문화, 교육의 중심지가 되었다. 기계, 화학, 철강 공업이 발달하였다. 장쑤성의 성도(省都)이다.    우리말샘

주7

중국 동부, 양쯔강(揚子江) 하류의 양쪽 기슭에 걸쳐 있는 성. 온화한 기후를 가진 농경 지대로 쌀, 밀, 콩 따위가 많이 난다. 성도(省都)는 허페이(合肥), 면적은 13만 9900㎢.    우리말샘

주8

중국 동남부에 있는 성. 대만 해협에 면하여 있으며, 대부분이 산악 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장뇌(樟腦)ㆍ송향(松香)ㆍ차ㆍ사탕수수ㆍ밀 따위가 나며, 예로부터 외국으로 이주하는 사람이 많아 남방 화교 출신지로 유명하다. 성도(省都)는 푸저우(福州), 면적은 12만 3100㎢.    우리말샘

주9

중국 중서부에 있는 성. 예로부터 관개 농업이 발달하여 쌀, 밀, 목화, 차 따위의 농산물이 많이 난다. 석탄과 석유가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으며 제철, 기계, 방직 공업이 발달하였다. 북부의 옌안(延安)은 중국 공산 혁명의 발상지이다. 성도(省都)는 시안(西安), 면적은 19만 6000㎢.    우리말샘

주10

중국 산시성(陝西省)에 있는 도시. 황허강(黃河江)의 지류 유역인 웨이수이강(渭水江) 분지의 중심 도시이며, 방적ㆍ제분 공장과 발전소가 있다. 예로부터 한민족 활동의 중심지로 부근에 주(周)나라, 진(秦)나라, 한(漢)나라, 수나라, 당나라의 도읍이 있었다. 성도(省都)이다.    우리말샘

집필자
윤선자(전남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