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효숙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한국광복군 제2지대에 종군하여 대일 심리전을 펼쳤던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915년 2월 11일
사망 연도
2003년 3월 24일
본관
의성(義城)
출생지
평안남도 용강
주요 경력
한국혁명여성동맹 집행위원 겸 훈련부 주임|조선민족혁명당 감찰위원
대표 상훈
건국포장(1980)|건국훈장 애국장(1990)
내용 요약

김효숙은 일제강점기 한국광복군 제2지대에 종군하여 대일 심리전을 펼쳤던 여성 독립운동가이다.1937년 중국 광둥성의 중산대학 학생전시복무단을 조직하였고, 1940년 한국혁명여성동맹 집행위원 겸 훈련부 주임, 1944년 3월 조선민족혁명당 감찰위원 등으로 활동하였다. 1944년 10월 한국광복군 제2지대에 종군하여 대일 심리전 전개하던 중 8·15광복을 맞았다.

정의
일제강점기 한국광복군 제2지대에 종군하여 대일 심리전을 펼쳤던 독립운동가.
가계 및 인적 사항

김효숙(金孝淑)은 1915년 2월 11일 평안남도 용강군(龍岡郡) 오신면(吾新面) 구룡리(九龍里)에서 김붕준(金朋濬, 이명 김기원)과 노영재(盧英哉)의 1남 2녀 중 첫째 딸로 태어났다. 오빠는 김덕목(金德穆), 동생은 김정숙(金貞淑)이다. 여자도 배워야 한다고 주장하였던 아버지의 생각 덕분에 6살 무렵 단발머리를 하고 서당에 다녔는데, 당시 여자아이는 혼자였다.

중국 상하이 인성학교(仁成學校)를 졸업하고, 중국의 중학교인 민생(民生)중학에 다녔다. 고등학교는 아버지가 선택한 기독교 학교인 혜중(惠中)학교에 동생 김정숙과 함께 다녔는데, 교장에게 부탁하여 한 명분의 학비만 내고 공부하였다. 동생 김정숙과 함께 중산대학(中山大學)에 진학하여 1937년 7월 1일 졸업하였다. 1936년 1월 2일 중산대학 법학원에서 공부한 송면수(宋冕秀)와 혼인하였다.

주요 활동

김붕준이 중국으로 간 이후 1921년 김효숙과 가족들은 병보석으로 출감한 대한민국애국부인회 회장 김마리아를 상하이로 탈출시키기 위해 파견된 대한민국임시정부 특파원 윤응념(尹應念)의 안내로 김마리아, 도인권(都寅權) 가족과 함께 중국을 향해 출발하였다.

1920년 12월 김정숙의 둘째 큰아버지 김긍준(金兢濬)이 군자금을 모금하러 온 네 명을 김정숙의 집에 머물게 하였는데, 얼마 후 그들 중 두 명이 진남포에서 일제 경찰에 체포되면서 용강군에 머문 사실이 발각되었기 때문이었다. 이에 따라 용강에서 기차를 타고 서울역을 거쳐 인천에서 중국 위해위(威海衛)에 도착하였으며, 위해위에서 화륜선으로 1921년 6월 24일 상하이에 도착하였다.

윤봉길 의거 다음 날인 1932년 4월 30일 오빠 김덕목 등 네 명이 체포되었고, 1932년 9월경 김효숙은 동생 김정숙과 함께 상하이에서 아버지 김붕준이 있는 주1〔廣東省〕으로 이동하였고, 1937년 7월 언니 김효숙과 함께 중산대학 학생전시복무단을 조직하고 항일의식을 고취하였다.

1937년 7월 주2〔南京〕 남기가(藍棋街)에서 한글 교사로 활동하였고, 1937년 10월 18일 송면수와 함께 주3〔湖南省〕 장사(長沙)에 도착하여 어린이들에게 한글을 가르쳤다. 1939년 2월 주4〔廣西省〕 주5〔柳州〕에서 조직된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韓國光復陣線靑年工作隊)에 참여하여 항일 연극과 강연, 합창, 전단을 배포하는 등 반일 사상을 고취하고 주6 활동을 전개하였다.

1939년 5월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과 가족들은 류저우를 떠나 주7〔四川省〕 기강(綦江)에 도착하여 머물렀는데, 남자 67명, 여자는 김효숙 등 40명 총 107명이었다. 기강현 정부에서는 한교등기잠행판법(韓僑登記暫行辦法)을 제정하여 한인(韓人)들에게 거주 신청서를 작성 제출하게 하였고, 등록증을 발급하였다. 임시정부 요인 및 가족들은 대부분 상승가(上昇街) 진가공관(陳家公館)에 머물렀고,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의 청년들은 기강현의 산 위에 있는 관음암(觀音庵)에 거처하였다.

1940년 6월 17일 한국혁명여성동맹(韓國革命女性同盟)을 창립하여 집행위원 겸 훈련부 주임으로 활동하였다. 1941년 10월 13일 마일신(馬一新) · 이해명(李海鳴)과 함께 임시의정원 강원도 의원에 선출되었는데, 다음 날인 10월 14일 비법 선거로 무효임이 선포되었다. 1944년 3월 15일 조선민족혁명당 감찰위원이 되었고, 1944년 10월 한국광복군 제2지대에 종군하여 대일 심리전 활동을 하던 중 8 · 15광복을 맞이하였다.

상훈과 추모

1980년 건국포장,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수여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44: 사진자료』(국사편찬위원회, 2011).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35: 한국국민당 I』(국사편찬위원회, 2009)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37: 조선민족혁명당 및 기타 정당』(국사편찬위원회, 2009)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1: 헌법·공보』(국사편찬위원회, 2005)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5: 임시의정원 IV』(국사편찬위원회, 2005)
한시준, 『한국광복군 연구』(일조각, 1993)
『독립유공자공훈록』5(국가보훈처, 1988)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6: 독립군전투사』 하(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5)
김효숙,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와 나: 1919 .3. 1.~1945. 8. 15.』(1996. 1. 21. 탈고)

논문

오은아,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의 결성과 항일공연예술활동」( 『한국근현대사연구』 87, 한국근현대사학회, 2018)
한시준, 「여성광복군과 그들의 활동」(『사학지』 37, 단국대학교 사학회, 2005)

신문

「윤응념은 교통 담임」(『매일신보』, 1923. 5. 20.)
주석
주1

중국 남부, 남중국해에 면한 성. 옛날 월(粤)나라의 거주지로, 진시황 때 중국의 영토가 되었으며, 당나라 때까지는 유형지였다. 성도(省都)는 광저우(廣州), 면적은 17만 8145㎢.    우리말샘

주2

중국 장쑤성(江蘇省) 서남쪽에 있는 도시. 양쯔강(揚子江) 하류 연안에 있는 수륙 교통의 요충지이며, 역대 왕조의 도읍지로 명승고적이 많다. 1928년에 국민당(國民黨) 정부의 수도가 된 후에 중국의 정치, 군사, 문화, 교육의 중심지가 되었다. 기계, 화학, 철강 공업이 발달하였다. 장쑤성의 성도(省都)이다.    우리말샘

주3

중국 후베이성(湖北省) 남쪽에 접하여 있는 성. 둥팅호(洞庭湖) 남쪽에 있으며 샹장강(湘江江)이 지난다. 쌀ㆍ보리와 세계적인 안티모니ㆍ납 따위가 나며, 기계ㆍ제련ㆍ화학 따위의 공업이 발달하였다. 성도(省都)는 창사(長沙), 면적은 21만 1800㎢.    우리말샘

주4

중국 서남부에 있는 성. 뒤에 광시 좡족 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가 되었다. 목재와 임업 생산물의 주요 산지이다. 철도와 고속 도로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며 지역 전반에 걸쳐 수상 운송 체제가 정교하게 발달되어 있다. 면적은 32만 7408㎢.    우리말샘

주5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 중앙부에 있는 상공업 도시. 수륙 교통의 중심지이며, 목재의 집산지이다. 제재, 제지, 황산, 주정(酒精) 따위의 공업이 발달하였다.    우리말샘

주6

사람을 불러 모음.    우리말샘

주7

중국 양쯔강(揚子江) 상류에 있는 성. 비옥한 쓰촨 분지가 펼쳐져 있으며, 쌀과 차[茶]를 많이 생산한다. 성도(省都)는 청두(成都), 면적은 48만 8000㎢.    우리말샘

집필자
윤선자(전남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