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목대황포묵 (묵)

식생활
음식·약
완산팔미(完山八味)의 하나로 전북특별자치도 전주 교동의 오목대에서 흘러나오는 샘물을 이용하여 녹두로 만든 묵.
이칭
이칭
노랑묵, 노랑 청포묵
음식·약/음식
재료
녹두|치자 우린 물
관련 장소
전주 교동|오목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오목대황포묵은 완산팔미(完山八味)의 하나로 전북특별자치도 전주 교동의 오목대에서 흘러나오는 샘물을 이용하여 녹두로 만든 묵이다. 이 황포묵은 노란 치자물을 들인 묵이다. 오목대황포묵이 언제부터 유명한 것으로 이름이 났는지는 여러 문헌을 살펴봐도 알 수 없으나, 전주에서는 아직도 명성을 이어오고 있다.

정의
완산팔미(完山八味)의 하나로 전북특별자치도 전주 교동의 오목대에서 흘러나오는 샘물을 이용하여 녹두로 만든 묵.
연원 및 변천

오목대는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교동에 위치해 있으며, 옛 지명은 묵샘골이다. 이곳에서 녹두묵을 많이 만들어 유명하였고, 이곳의 샘물은 어느 곳보다 물맛이 좋아 녹두를 갈거나 갈아 놓은 녹두로 묵을 만들 때 쓰는 샘물로 적격이라 간을 하지 않아도 좋았다고 한다.

오목대황포묵은 예로부터 전주에서 맛있기로 유명한 ‘완산팔미(完山八味)’ 중 하나로 이름이 나 있으며, 1953년 잡지 『신조(新調)』 제3집(1953.12.)에 실린 「근음 삼수(近吟 三首)」에 일부 소개되어 있다. 1967년에 향토사학자 이철수가 쓴 『전주야사』의 기록에 의하면 “녹두묵은 자만동과 교동의 묵샘골 녹두묵을 부성의 자랑으로 꼽는다. 이곳 샘물로 빚은 묵은 천하의 진미래서 강호에 높이 알렸다.”고 한다. 오목대황포묵은 오늘날까지 전주비빔밥의 재료로 빠지지 않는 식재료이기도 하다.

전주시는 2020년에 ‘전주 음식 명인 · 명소 등 발굴 육성 조례’를 제정하여 3대째 오목대황포묵을 만들어 오는 집안을 전주음식 명가로 선정하였다. 이에 전주에서 오목대황포묵은 현재도 맛을 이어가고 있다.

조리법

『한국의 전통향토음식 6, 전라북도』에서는 오목대황포묵을 두고 ‘노랑 청포묵’이라고 하였으며,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오목대황포묵을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녹두를 맷돌에서 갈아 반으로 갈라 물에 불린 다음 문질러 씻어 껍질을 깨끗하게 벗긴다. 물에 충분히 불린 녹두는 맷돌이나 분쇄기에서 물을 부어가며 곱게 간다. 고운 체에 거른 후, 물을 충분히 붓고 67시간을 두어 앙금이 가라앉으면 윗물을 따라낸다. 치자는 쪼개서 찬물에 담가 노란빛이 우러나게 둔다. 가라앉은 앙금 1컵에 치자 물을 56컵 비율로 붓고 잘 섞은 다음 냄비나 솥에 넣고 나무 주걱으로 계속 저어가면서 풀을 쑤듯이 끓인다. 되직해지면 소금으로 간을 하고 한소끔 더 끓인다. 치자 우린 물은 처음부터 넣지 않고, 엉기기 시작할 때 넣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큰 그릇 안쪽에 물을 바르고 끓인 황포묵을 부어 식힌다.

관련 풍속

오목대황포묵은 즐기는 계절이나 행사는 없으며, 사시사철 먹는다. 먹을 때는 끓인 묵이 굳으면 납작하게 썰어 양념장을 곁들이는 것은 기본이고, 흔하게 상추와 같은 채소를 곁들여서 양념장에 무친 황포묵 무침도 있지만, 전주에서는 주로 가늘게 썰어서 쇠고기 육회와 함께 먹는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병기, 『가람 이병기 전집 ② 시조·시(신문·잡지 편)』(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이철수, 『전주야사』(전주시관광협회, 1967)
장명수·송영애, 『전주음식 먹거리 식담록』(신아출판사, 2022)
전주문화원, 『전주 향토지』(선명출판사, 1990)

논문

서혜경·차경옥, 「전주의 전통 부식 조사 연구」(『인문과학연구』 11, 전주대학교 인문과학종합연구소, 200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