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정보사령부 ()

국방
단체
1990년에 설립된 해외 및 대북 군사정보 수집을 주임무로 하는 국방정보본부 예하 기능사령부.
이칭
약칭
정보사
단체
설립 시기
1990년
상위 단체
국방부 국방정보본부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국군정보사령부는 1990년에 설립된 해외 및 대북 군사정보 수집을 주임무로 하는 국방정보본부 예하 기능사령부이다. 대한민국 국군의 정보수집 및 첩보 업무를 수행하고, 주로 해외 및 대북 군사정보 수집과 기밀 첩보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영상정보와 인간 정보분야에 중점을 두고 있다. 참고로 국방정보본부 예하에는 정보사령부와 신호정보를 담당하는 777사령부가 있다.

정의
1990년에 설립된 해외 및 대북 군사정보 수집을 주임무로 하는 국방정보본부 예하 기능사령부.
설립 목적

국군정보사령부(KDIC: Republic of Korea Defence Intelligence Command)는 대한민국 국군의 해외정보 전문 주1로 1990년에 서울 서초동에서 창설된 부대이다.

국방정보본부령 제4조 2항에 의하면, 정보본부 예하에 다음 각 호의 부대를 두는데, 1호에는 “군사 관련 영상 · 지리공간 · 인간 · 기술 · 주2 · 기호 등의 정보(이하 주3 등이라 한다)의 수집 · 지원 및 연구에 관한 업무와 적의 영상정보 등의 수집에 대한 방어 대책으로서의 주4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기 위한 정보사령부를 둔다.”고 명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국방부 지할부대인 국방정보본부 산하에 설치되어 있으며, 주5를 관장하는 777사령부와 함께 국방정보본부의 관리 · 통제 · 지휘를 받는다.

변천 및 현황

먼저, 육군주6는 1946년 1월에 주7 국방 주8 정보과로 발족하여, 1946년 8월 조선경비대 총사령부 정보국을 거쳐, 11월 말 주9 주10으로 개편되어 입수된 정보를 분석 판단하는 정보대인 1과로 불렸고, 후에 육군 정보대(MIG: Military Intelligence Group)가 된다. 1950년 7월에 육군본부 정보국 내에 공작과가 만들어져 주로 주11를 담당하는 2과(HID: Headquarters of Intelligence Detachment)로 불리다가, 1951년 3월에 독립된 주12가 되었다. 첩보분견대본부(HID)는 1961년 7월 육군 첩보대(AIU: Army Intelligence Unit)로 개칭하고, 1972년 2월 정보대(MIG)와 첩보대(HID)를 통합해 육군정보사령부(AIC: Army Intelligence Command)가 되었다.

둘째, 해군의 정보부대는 1948년 9월 해군 작전국 내 정보과로 발족하여, 1954년에 해군 정보부대로 개편되었다. 1955년부터 자체적으로 해군 첩보 수중파괴단(UDU: Uunderwater Demolition Unit) 요원을 선발했다. 1970년 이전까지 해군 정보부대(NIU: Navy Intelligence Unit) 내 해상정찰대의 UDT(Underwater Demolition 주13 요원 등을 해군첩보 수중파괴단으로 불렸고, UDT부대에서 주14을 직접 양성 후 해군 정보부대에 전속하였다. 1971년 5월 5일에는 해군첩보부대령에 의해 UDT교관단으로 구성된 해군 첩보부대 교육대가 설치되면서 공식적으로 UDT라고 불렀다.

셋째, 공군의 정보 부대는 1954년 9월 미 극동공군이 일본으로 이전함으로써 미 6006부대가 사라지게 되자, 20특무전대(AISU: Airforce Intelligence Service Unit)가 6006부대의 임무를 떠맡았다. 일명 실미도 부대라 불리는 684부대가 바로 20특무전대 소속 부대 중 한 부대였다.

1990년 9월 29일 육 · 해 · 공군 3군 정보부대를 통합해, 기존에 있던 육군의 정보사령부(AIC), 해군의 첩보부대(UDU), 공군의 20특무전대(AISU)가 국군정보사령부가 되었다. 그리고 1999년 3월 30일에 국방정보본부로 편입되었다.

참고로 2013년 이전까지 정보사령부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에 있었지만, 2013년에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박달동으로 이전하였다.

의의 및 평가

정보사령부는 군의 주15이다. 주 업무는 북한을 포함한 해외 첩보 및 기밀업무이며, 전세계 모든 군사집단을 상대로 한 전략, 전술, 무기 장비, 기술, 연구 현황은 물론 관련 인프라와 경제 상황 등에 관한 정보수집과 분석 등이 포함된다. 해외 휴민트(HUMINT: human intelligence) 및 군사정보 등의 특수 영역에 집중된 임무를 수행하기에 일반인 출신이 절대다수인 타 정보기관들에 비해 소속 개인, 주17 차원 등 모든 면에서 훨씬 전문적인 수준의 실력을 갖춘 ‘군 첩보부대’이다. 또한, 대규모 수집분석 부서를 보유하고 있고, 방대한 양의 정보수집 자산과 부대와 연결되어 있기에 모든 정보분야에 있어 손꼽힐 정도로 뛰어난 역량과 탁월한 능력을 가진 부대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국방부, 『2022 국방백서』(국방부정책기획관실 국방전략과, 2023)

인터넷 자료

정보사령부(http://namu.wiki)
주석
주1

국군이 특별한 내용ㆍ형태의 정보 수집 따위를 목적으로 창설하여 운용한 부대. 외국군에 소속되었거나 이 부대의 창설 이전에 구성되어 유격전 따위에 종사한 부대는 제외한다. 우리말샘

주2

시간이나 물건의 양 따위를 헤아리거나 잼. 우리말샘

주3

캐드 따위에서 볼 수 있는 그림, 선, 도형과 같이 시각적으로 표현된 정보. 우리말샘

주4

적의 조직이나 개인이 행하는 아군의 병력과 장비, 활동에 대한 정보 수집, 전복ㆍ테러ㆍ암살 따위의 활동을 탐지하고 이를 무력화하거나 거부하는 모든 활동. 우리말샘

주5

통신, 전자에 대한 지식이나 자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6

정보의 수집 및 분석에 관한 일을 맡아 하는 부대. 우리말샘

주7

점령지에서 군사령관이 군정을 행하는 관청. 우리말샘

주8

총사령관이 주관하여 일을 맡아보는 기관. 우리말샘

주9

국방부 소속으로, 육군의 운영에 관한 모든 일을 맡아보는 육군의 최고 지휘 기관. 우리말샘

주10

군대 따위에서 정보의 수집, 처리 따위와 같은 일을 맡아 하는 국. 우리말샘

주11

상대편의 정보나 형편을 몰래 알아내어 보고함. 또는 그런 보고. 우리말샘

주12

국군이 특별한 내용ㆍ형태의 정보 수집 따위를 목적으로 창설하여 운용한 부대. 외국군에 소속되었거나 이 부대의 창설 이전에 구성되어 유격전 따위에 종사한 부대는 제외한다. 우리말샘

주13

해안 정찰 및 물속에 설치된 기뢰 따위의 장애물을 폭파하거나 제거하는 일을 맡아보는 해군 부대. 우리말샘

주14

북파 공작의 임무를 띠고 파견되었던 첩보원. 우리말샘

주15

정보의 수집, 처리, 선전, 통제 따위에 관한 일을 전문적으로 맡아 하는 기관. 우리말샘

주16

생산이나 생활의 기반을 형성하는 중요한 구조물. 도로, 항만, 철도, 발전소, 통신 시설 따위의 산업 기반과 학교, 병원, 상수ㆍ하수 처리 따위의 생활 기반이 있다. 우리말샘

주17

어떤 조직이나 기구를 편성하여 체제를 조직함. 또는 그 기구나 체제.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