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수단 한빛부대 ( )

국방
단체
2013년 1월에 창설되어 남수단의 재건사업에 파견되고 있는 300명 규모의 공병부대.
단체
설립 시기
2013년 1월
상위 단체
대한민국 육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한빛부대는 2013년 1월에 창설되어 남수단의 재건사업에 파견되고 있는 300명 규모의 공병부대이다. 2011년 7월 9일 남수단이 독립하면서 반기문 UN 사무총장이 대한민국 정부에 파병을 신청하였다. 그래서 2012년 9월 27일 국회에서 부대 파병 동의안을 통과시켜, 평화유지를 위해 2013년 1월에 파병된 UN 남수단임무단 부대이다. 한빛부대는 대한민국 국방부가 아닌 UN의 작전 지휘를 받는다.

정의
2013년 1월에 창설되어 남수단의 재건사업에 파견되고 있는 300명 규모의 공병부대.
설립 목적

영국이집트의 공동 통치로부터 벗어난 주1 지역에 있는 수단은 1955년 정치 · 종교적 이유로 주2이 시작되었고, 두 차례의 주3을 거쳐 2011년 7월 주4은 수단으로부터 독립하였다. 유엔은 신생 독립국인 남수단을 지원하기 위해 남수단 독립 하루 전인 2011년 7월 8일에 유엔 주5 결의 제1996호에 따라 유엔 남수단임무단(UNMISS: United Nations Mission In South Sudan)을 설치하고 회원국에 파병을 요청하여, 대한민국은 2013년 1월 주6 부대인 남수단 재건지원단(한빛부대(韓光部隊))을 창설하였다.

UNMISS의 위임명령 상 민간인 보호, 인도적 지원을 위한 여건 조성, UN기지 방호 및 주7 보장 지원, 가용범위 내 인도주의법(人道主義法) 및 주8 이행 여부 등을 확인하는 임무이다.

변천 및 현황

정부는 2012년 9월 국회의 동의를 받아 2013년 1월 공병부대인 남수단 재건지원단인 한빛부대를 창설하고, 2013년 3월 31일 300명 규모의 토목공병중대(ROKHMEC: Republic of Korea Horizontal Military Engineering Company)를 동아프리카 남수단 현지로 파병하였다.

한빛부대 주요 임무로는 공병분야 지원 및 지방정부 재건지원, 보르기지 동측방(380m) 경계 및 철수 시 통로 확보 공병지원, 재건 및 평화유지작전 여건 조성을 위한 민군작전 등이다. 남수단 재건지원단은 창설 이후 현재까지 총 15개진 4,336명이 파견되었고, 현재는 16진이 보르 지역에서 8개월 동안 활동하고 교대를 한다.

주요 활동

남수단 재건지원단(한빛부대)은 내전으로 황폐해진 남수단 종글레이주 보르, 피보르, 아코보 지역에서 도로, 비행장, 교량 건설과 보수, 주9 주10 설치 등 주11 지원 활동과 주12 보호, 식수 지원 등 인도적 지원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또한, 남수단 현지 주민들의 생활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한빛직업학교에 농업, 목공, 토목 등 6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활동으로는 재건지원 작전으로 보르공항 개선 공사(주기장 확장), 민군작전 및 인도적 지원으로 한빛농장을 운영하여 6,300평에 작물 14종을 재배하고 있고, 난민 보호로는 난민보호소 시설보수 및 경계초소 14개 신축, 유엔임무단 시설공사 지원으로는 보르기지 유엔 직원 숙소 25동 설치 등 다양하게 분야별로 활동을 하고 있다.

2013년 11월 28일 새벽에 남수단의 NGO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사무실에 AK 소총으로 무장하고 침입한 무장강도단으로부터 한국인들이 목숨을 위협받고 있던 상황에서 긴급신고를 받은 한빛부대의 특전사 대원들이 즉각 출동해서 무장강도들을 제압하고 한국인들을 무사히 구출해내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UN 연락장교인 마이크 채드윅 호주군 주13으로부터 “구출작전의 정석을 보여주었으며 남수단임무단(UNMISS)의 성공적인 작전사례가 될 것이다.”라는 찬사를 받기도 하였다.

의의 및 평가

남수단 재건지원단(한빛부대)은 다양한 종류의 재건지원 활동을 통해 남수단 내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교류를 촉진함으로써 종족 간 갈등 완화에도 기여하고 있으며, 주민 친화적 민군작전은 유엔 및 현지 관계자들로부터 매우 모범적인 활동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2021년 한빛부대 14진은 대한민국의 유엔가입 30주년을 맞아 인도적 지원사업 차원에서 구급차, 오토바이 등 일반물자와 응급처치 키트, 환자용 의자 등 의무물자를 남수단에 공여하였다. 또한, 보르병원 외래병동 신축에 이어 주15 텐트 설치를 통해 주16 예방과 확산 방지에도 기여하여 국제사회로부터 대한민국의 방역능력에 대한 신뢰성을 인정받게 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국방대학교, 『한빛부대 15진 파병성과·교훈집』(국방대학교 국제평화활동센터, 2023)
국방부, 『2022 국방백서』(국방부정책기획관실 국방전략과, 2023)

인터넷 자료

「남수단 재건지원단」(http://namu.wiki)
주석
주1

아프리카의 동부 지역. 아비시니아고원, 소말리아반도 및 동아프리카고원을 포괄하는 지역이다. 우리말샘

주2

한 나라 안에서 일어나는 싸움. 우리말샘

주3

군사적으로 대치하고 있는 나라나 지역에서 군사 행동을 중지하고 평화 상태를 회복하거나 우호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맺는 협정. 우리말샘

주4

아프리카 동북부에 있는 공화국. 2011년에 수단 공화국으로부터 분리되어 독립하였다. 주민은 딩카족이 제일 많고 이외에 200여 개의 부족이 존재한다. 주요 언어는 영어와 아랍어이다. 수도는 주바(Juba), 면적은 61만 9745㎢. 우리말샘

주5

세계 평화와 안전을 지키고 분쟁을 해결하기 위하여 둔 국제 연합의 주요 기관. 미국, 영국, 러시아, 프랑스, 중국의 5개 상임 이사국과 임기 2년의 10개 비상임 이사국으로 구성한다. 우리말샘

주6

군대에서 토목, 건축 임무를 맡은 부서 또는 그에 속한 군인. 우리말샘

주7

살아 있기 위한 특성. 또는 살아남기 위한 특성. 우리말샘

주8

인간으로서 당연히 가지는 기본적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법률. 우리말샘

주9

아프리카 동북부를 흐르는 강. 적도 부근에서 시작하여 북쪽으로 흘러, 빅토리아호를 거쳐 지중해로 들어간다. 본류를 백나일(白Nile), 지류를 청나일(靑Nile)이라 부른다. 유역은 비옥한 농업 지대로서, 고대 이집트 문명의 발상지이며 유적이 많다. 길이는 약 6,700km. 우리말샘

주10

댐에서 물이 새는 것을 막기 위하여 만든 벽. 우리말샘

주11

허물어진 건물이나 조직 따위를 다시 일으켜 세움. 우리말샘

주12

전쟁이나 재난 따위를 당하여 곤경에 빠진 사람. 우리말샘

주13

영관 계급의 하나. 준장의 아래, 중령의 위로 영관 계급에서 가장 높은 계급이다. 우리말샘

주14

성(姓)과 본(本)이 같은 겨레붙이. 우리말샘

주15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 상태. 우리말샘

주16

코로나바이러스가 변이를 일으켜 생긴 새로운 바이러스에 의하여 일어나는 급성 호흡기 감염병. 기침, 인후통, 호흡 곤란, 폐렴, 발열, 근육통, 설사 따위의 증상을 보인다. 2019년에 발생한 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수많은 감염자와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우리말샘

주17

여러 나라가 서로 교류하고 의존하면서 국제적 공동생활을 영위하는 사회.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