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항여객터미널 (terminal)

교통
지명
목포시와 신안군 주변 섬 및 제주도를 연결하는 여객터미널.
지명/시설
건립 시기
연안여객터미널: 2005년 준공, 국제여객터미널: 1997년 준공
면적
연안여객터미널: 부지면적 14,413㎡, 건축면적(본관) 8,165㎡, 연면적(본관) 11,600㎡ / 건축면적(별관) 182㎡, 연면적(별관) 177㎡ / 국제여객터미널: 대지면
높이
연안여객터미널: 지상 4층(본관), 지상 1층(별관), 국제여객터미널: 지상 2층
소재지
전라남도 목포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목포항여객터미널은 목포시와 신안군 주변 섬 및 제주도를 연결하는 여객터미널이다. 연안 여객터미널(본관, 별관), 국제 여객터미널로 구분되어 있다. 연안 여객터미널 본관은 쾌속선, 별관은 차도선, 국제 여객터미널은 대형 카페리선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다. 연안 여객터미널 본관은 1층에 주차장, 2층에 대합실 등을 갖추고 있으며 대합실은 1,738명을 수용할 수 있다. 별관은 1층에 대합실을 두고 있으며 101명의 여객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다. 국제 여객터미널은 1층에 대합실이 있고 1,058명을 수용할 수 있다.

정의
목포시와 신안군 주변 섬 및 제주도를 연결하는 여객터미널.
여객터미널 현황

전라남도 목포시 해안로에 있는 목포항여객터미널은 연안 여객터미널과 국제 여객터미널로 구분되어 있다.

연안 여객터미널은 본관과 별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관 여객터미널은 부지 면적 14,413㎡, 건축 면적 8,165㎡, 주1 11,600㎡로 구성되어 있다. 본관은 지상 4층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구조물로, 2층에는 여객을 위한 3,022㎡ 면적의 대합실이 설치되어 있어 1,738명을 수용할 수 있다. 2층 대합실에는 매표소, 사무실 외에 여객의 편의를 위한 화장실, 여객 쉼터, 매점 등이 있다. 여객의 안전을 확인하기 위한 CCTV 95대를 운용하고 있으며, 전기 시설 수전 900㎾, 비상 발전기 275㎾, 물탱크 등이 설치되어 있다. 여객 편의 시설로는 무인 발급기, 휴대폰 충전함, 승강기, 냉난방기, 수유실, 정수기, 자판기, ATM, 주차장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주차장은 137대의 차량을 수용할 수 있다. 부두 시설로는 주9주10 접안을 위한 주11 2개, 경사식 주12 2선석이 있으며 총 11척의 선박을 동시에 접안할 수 있다. 본관 여객터미널 옆에 위치한 별관 여객터미널은 건축 면적 182㎡, 연면적 177㎡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합실 여객 수용 인원은 101명이다. 별관에도 CCTV 12대를 운용하고 있으며, 전기 시설과 물탱크는 본관 설비를 공동으로 이용하고 있다. 여객 편의 시설로는 엘리베이터, 휴대폰 충전함, 냉난방기, 정수기, 자판기 등이 설비되어 있다. 별관의 부두 시설은 주13 1개, 경사식 물양장 2선석이 있고 총 7척의 선박을 동시에 접안할 수 있다.

국제 여객터미널은 현재 국제 항로는 개설되어 있지 않으며 제주 항로를 오가는 대형 카페리선이 터미널을 이용하고 있다. 국제 여객터미널의 대지 면적은 22,996㎡, 건축 면적은 6,20㎡, 대합실 연면적 1,636㎡로 구성되어 있다. 1층에 여객 대합실이 있으며 1,058명을 수용할 수 있다. 여객 안전을 위한 CCTV 40대, 전기 시설, 물탱크 등의 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며, 여객 편의 시설로 무인 민원 발급기, 휴대폰 충전함, 냉난방기, 수유실, 정수기, 자판기, ATM, 주차장이 있으며 주차장에는 104대의 차량이 주차할 수 있다. 국제 여객터미널의 부두 시설은 중력식 부두 2개 선석이 있으며 대형 카페리선 2척이 동시에 접안할 수 있다.

주요 항로 및 여객 수송 실적

목포항주14, 홍도, 가거도, 조도, 외달도, 하의도, 신의도, 우이도, 제주도를 오가는 여객선이 운항되고 있다. 연안 여객터미널 본관 및 국제 여객터미널에는 4개 선사(씨월드고속훼리, 남해고속, 동양훼리 조양운수)가 4개 항로에 11척의 여객선을 운항하고 있으며, 연안 여객터미널 별관은 3개 선사(남신안농협, 신진해운, 해광운수)가 4개 항로에 7척의 여객선을 운항하고 있다.

제주도 항로에는 퀸메리호, 퀸제누비아호, 홍도(가거도) 항로에는 남해엔젤호, 남해퀸호, 뉴골드스타호, 뉴돌핀호, 동양골드호, 유토피아호, 뉴퀸호, 남해프린스호, 하의도 및 도초 항로에는 슬로시티3호, 상태서리 항로에는 엔젤호, 남신안농협2호, 상태동리 항로에는 남신안농협1호, 남신안농협3호, 남신안농협5호, 외달도 항로에는 슬로아일랜드호가 운항하고 있다. 국가 보조 항로에 해당하는 우이도, 웅곡, 북강, 율목 항로에는 섬사랑6호, 섬사랑15호, 섬사랑11호, 섬사랑13호, 섬사랑10호가 운항하고 있다.

2022년 기준으로 여객 수송 실적은 160,538명이며, 이 가운데 일반인 108,976명, 도서민 51,562명이 이용하였다. 연안 여객터미널의 별관을 이용한 이용객은 2022년 기준 112,061명으로 일반인 48,010명, 도서민 64,051명이 이용하였다. 국제 여객터미널은 같은 해 250,613명의 여객이 이용하였고 여객의 대부분이 관광객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섬 교통체계 실태분석』 (한국섬진흥원, 2022)
『연안해운 통계연보』 (한국해운조합, 2022)

인터넷 자료

한국해운조합 홈페이지(www.haewoon.co.kr)/*현재 해당 페이지는 사라진 것으로 확인됨. '한국해운조합'의 웹사이트 주소는 'www.theksa.or.kr'이며, '목포항여객터미널'의 웹사이트 주소가 'http://company.haewoon.co.kr/CompanySite/View.aspx?CompanyID=MKPO'임. 정확한 참고문헌 정보 확인 후 수정 필요. */

기타 자료

한국해운조합 여객터미널 현황 내부자료/정확한 참고문헌 제시 형식을 따르고 있지 않음. 정확한 참고문헌 정보 확인 후 수정 필요./
주석
주1

건물 각 층의 바닥 면적을 합한 전체 면적. 우리말샘

주2

소형 선박이 접안하는 부두. 주로 어선이나 부선 따위가 접안해 하역한다. 우리말샘

주3

부두에 방주(方舟)를 연결하여 띄워서 수면의 높이에 따라 위아래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한 잔교. 사람이 타고 내리거나 하역 작업을 하는 데 쓴다. 우리말샘

주4

절벽과 절벽 사이에 높이 걸쳐 놓은 다리. 우리말샘

주5

여객과 차량을 함께 수송할 수 있는 배. 우리말샘

주6

속도가 매우 빠른 배. 우리말샘

주7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에 속하는 섬. 조기ㆍ삼치ㆍ갈치ㆍ도미 따위가 많으며, 규사(硅沙)가 유명하다. 면적은 16.34㎢. 우리말샘

주8

부두에서 선박에 닿을 수 있도록 해 놓은 다리 모양의 구조물. 이것을 통하여 화물을 싣거나 부리고 선객이 오르내린다. 우리말샘

주9

여객과 차량을 함께 수송할 수 있는 배. 우리말샘

주10

속도가 매우 빠른 배. 우리말샘

주11

부두에 방주(方舟)를 연결하여 띄워서 수면의 높이에 따라 위아래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한 잔교. 사람이 타고 내리거나 하역 작업을 하는 데 쓴다. 우리말샘

주12

소형 선박이 접안하는 부두. 주로 어선이나 부선 따위가 접안해 하역한다. 우리말샘

주13

절벽과 절벽 사이에 높이 걸쳐 놓은 다리. 우리말샘

주14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에 속하는 섬. 조기ㆍ삼치ㆍ갈치ㆍ도미 따위가 많으며, 규사(硅沙)가 유명하다. 면적은 16.34㎢.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