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역 ()

목차
관련 정보
교통
지명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에 있는 철도역.
지명/시설
소재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수원역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에 있는 철도역이다. 수원역은 1905년 1월 1일, 경부선(京釜線) 보통 역으로 영업을 개시한 이후 수려선(水驪線), 수인선(水仁線) 영업을 시작하였고, 지금은 서울~수원 간 수도권 전철이 지나며 수인선과 분당선이 직결되는 역이다. 현재 케이티엑스(KTX) 고속 열차 외에도 경부선, 호남선(湖南線), 전라선(全羅線), 장항선(長項線) 등 다수의 일반 열차가 정차하고 있다.

키워드
정의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에 있는 철도역.
형성 및 변천

수원역은 1905년 1월 1일, 경부선 보통 주1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당시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는 수원역의 입지에 대하여 농수산물이 풍부한 물산의 주2이며 주3주4라 평하였다. 조선총독부 철도국은 화물 수입 중심이던 철도 건설 사업이 어려워지자 수원 화성(水原華城)을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1928년에 단층 한식 기와집에 주5을 갖춘 조선 최초의 전통 한옥 역사로 수원역을 재건하였다.

수원역은 1930년 12월에 주6, 1937년 8월에 수인선 영업을 시작하였고 1974년 8월 15일에는 서울수원 간 수도권 주10이 개통되면서 전철 영업을 시작하였다. 전철 개통 이듬해인 1975년 12월에 전철 역사가 준공된 후 2003년 2월 5일, 민자 주7로 준공되었고, 2010년 11월 1일부로 경부선 주8가 정차(1일 8회)하는 고속철도역으로 거듭났다. 2013년 11월에는 광역 주9인 분당선 망포수원 구간이 개통되었다. 2017년에는 수원역 환승 주11가 설립되어 버스, 택시 등 다른 수단과의 환승이 편리해졌다. 2020년 9월, 수인선 3단계(수원~한대앞) 구간의 개통으로 수인선 전 구간이 개통되면서 수인선과 분당선이 직결되는 지점이 되었다. 현재 케이티엑스(KTX) 고속 열차 외에도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등 다수의 일반 열차가 정차하고 있다.

구성

수원역사는 지상 6층, 지하 4층으로 이루어진 복합 건물로서 철도 업무 시설(지하 4층부터 지상 2층)과 백화점 상업 시설(지하 2층부터 지상 6층)로 구분되어 있다. 백화점, 영화관, 식당 등 다양한 상점들이 역에 입점해 수원의 쇼핑 문화 공간이자 상징물로 자리 잡고 있다. 지상 2층에는 편의점, 카페, 패스트푸드점, 약국 등 다수의 상업 시설과 함께 고객 지원실, 물품 보관함 등의 편의 시설이 자리 잡고 있으며, 코레일(KORAIL) 여행 센터와 경기도청 민원 센터, 주12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버스 환승 센터와 지상 2층을 통해서 연결된다. 지상 1층에는 열차 타는 곳과 택시 승강장이 연결되어 있으며, 지하 1층에는 다양한 상업 시설과 함께 물품 보관함이 설치되어 있다. 주차장은 지상 2층~4층에 총 1,361면의 규모로 마련되어 있다.

현황

2023년 9월을 기준으로 케이티엑스(KTX) 경부선 열차는 평일 7회, 주말 10회 정차(평일 상행(上行) 3회 하행(下行) 4회, 주말 상행 4회 하행 6회) 정차하며, 일반 주15주16 총 36회(주말 38회), 아이티엑스(ITX)-마음 12회, 새마을호 10회, 주18 70회(주말 68회)가 정차한다. 노선과 방향별로 살펴보면, 경부선 아이티엑스(ITX)-새마을 상‧하행 각 10회(주말 11회), 아이티엑스(ITX)-마음 상‧하행 각 2회, 무궁화호 상‧하행 각 16회(주말 15회), 호남선은 아이티엑스(ITX)-새마을 상‧하행 각 6회, 아이티엑스(ITX)-마음 상‧하행 각 2회, 무궁화호 각 6회, 전라선은 아이티엑스(ITX)-새마을 상‧하행 각 2회, 아이티엑스(ITX)-마음 상‧하행 각 2회, 무궁화호 상‧하행 각 4회, 장항선은 상‧하행 각각 새마을호 5회, 무궁화호 9회가 수원역에 정차한다. 수도권 전철의 경우 평일 기준 경부(장항)선 상‧하행 각 133회, 주19 상‧하행 각 115회 정차한다.

2022년을 기준으로 여객 이용객은 1,058만 3,659명이며 이 중 하행 승하차 합계는 525만 7,798명, 상행 승하차 합계는 532만 5,761명이었다. 케이티엑스(KTX) 이용객은 총 140만 517명이었으며 나머지 대부분의 이용객은 새마을(아이티엑스(ITX)-새마을 포함)과 무궁화호를 이용하였다. 특히 새마을호 승객이 총 265만 3,258명, 무궁화호 승객이 총 652만 9,784명으로서 무궁화호 이용객이 새마을호 이용객보다 약 2.5배 많았다. 비율로 보면 총 이용객 기준으로 무궁화호 이용객이 전체 이용객 중 약 62%를 차지하였고 케이티엑스(KTX) 이용객은 약 13%, 새마을호 이용객은 약 25%를 차지하였다. 2022년에는 광역 철도 이용객의 경우, 승차 1584만 8132명, 하차 1,624만 1,839명, 합계 3,208만 9,971명으로, 일 평균 약 8만 8,000명이 이용하였다. 2022년 기준 화물 수송량은 온산역수원역 간에 주20가 1만 4133톤(595만 1,581톤-km)이 수송되었고 입석리역수원역 간에는 시멘트가 21만 2472톤(4,194만 3,463톤-km) 수송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철도역 이야기』 (국가철도공단, 2022)
『2022 철도통계연보』 (한국철도공사, 국가철도공단, 2023)

인터넷 자료

한국철도공사(www.letskorail.com)
주석
주1

승객과 화물을 함께 처리하는 일반적인 열차 역. 우리말샘

주2

생산물이 여러 곳에서 모여들었다가 다시 다른 곳으로 흩어져 나가는 곳. 우리말샘

주3

도로나 교통망, 통신망 따위가 이리저리 사방으로 통함. 우리말샘

주4

지세(地勢)가 군사적으로 아주 중요한 곳. 우리말샘

주5

위 절반은 박공지붕으로 되어 있고 아래 절반은 네모꼴로 된 지붕. 우리말샘

주6

경기도 수원과 여주 사이를 잇는 철도 노선. 1930년에 개통되었으나 1972년에 폐선되었다. 우리말샘

주7

철도 경영자가 아닌 외부자가 공사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 출자하여 역을 건축하고 출자자가 역의 일부에 대해 사용 권리를 갖는 역. 우리말샘

주8

우리나라의 고속 철도. 최고 시속은 약 300km이며, 1994년 6월 프랑스 테제베로 차량 도입 계약을 맺어, 2004년 4월 경부선, 2015년 4월에 호남선을 개통하였다. 우리말샘

주9

‘대도시권 광역 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둘 이상의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 및 도에 걸쳐서 운행하는 각종 철도. 우리말샘

주10

전기 철도 위를 달리는 전동차. 우리말샘

주11

‘국가 통합 교통 체계 효율화법’에 따라, 교통수단 간의 연계 교통 및 환승 활동을 원활하게 할 목적으로 일정 환승 시설이 상호 연계성을 갖고 한 장소에 집합되어 있는 시설. 우리말샘

주12

지방 자치 단체의 주도로 중심 시가지에 상업이 활발하게 모이도록 하는 총체적 프로그램. 우리말샘

주13

지방에서 서울로 올라감. 또는 그런 교통수단. 우리말샘

주14

서울에서 지방으로 내려감. 또는 그런 교통수단. 우리말샘

주15

‘철도 건설 규칙’에서, 고속 철도와 도시 철도를 제외한, 열차가 주요 구간을 시속 200km 미만의 속도로 주행하는 철도. 우리말샘

주16

한국 철도 공사가 운행하는 도시 간 급행열차. 기존의 새마을호를 대체하여 신설되었으며, 2014년 5월에 운행을 시작하였다. 최고 시속은 150km이다. 우리말샘

주18

우리나라의 급행열차. 최고 시속은 150km이며, 2020년까지 운행될 계획이다. 우리말샘

주19

인천광역시에서 서울특별시 청량리를 잇는 수도권 전철 노선. 기존에 있던 분당선과 수인선을 통합하여 만든 노선이다. 길이는 108km. 우리말샘

주20

기름 종류. 석유ㆍ등유ㆍ휘발유나 참기름ㆍ들기름ㆍ콩기름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