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신항선 ()

목차
관련 정보
교통
지명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역과 부산광역시 강서구 부산신항역을 연결하는 복선 전철 노선.
지명/시설
건립 시기
2010년 11월 30일
소재지
경상남도 김해시, 부산광역시 강서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부산신항선은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역과 부산광역시 강서구 부산신항역을 연결하는 복선 전철 노선이다. 부산신항선은 부산신항만 건설로 발생한 물동량을 내륙과의 연계 수송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건설되었다. 부산신항선은 진례, 장유, 부산신항 3개 역사가 위치하며 진례역에서 경전선과 만나고 부산신항역에서 북철송장과 남철송장으로 갈라지는 지선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역과 부산광역시 강서구 부산신항역을 연결하는 복선 전철 노선.
형성 및 변천

부산신항선은 부산신항만 건설로 발생한 주1을 내륙과의 연계 수송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건설이 추진되었다. 당시 배후 도로와 국도2호선 확장이 추진되고 있었으나 인근 녹산 국가 산업 단지와 신호 지방 산업 단지의 주도로로 사용됨에 따라, 물동량의 원활한 수송을 위하여 화물 주2의 건설이 필요하였다. 부산신항선은 주3, 주4, 주5 3개 역사가 위치하며 진례역에서 경전선(慶全線)과 만나고, 부산신항역에서 북철송장과 남철송장으로 갈라지는 지선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부산신항선은 초기 가덕도장유진례~삼랑진[^6] 구간을 중심으로 ‘가덕도 주7’라는 명칭으로 건설이 추진되었다. 당시 건설 주8가 주무 부처로서 사업을 추진하였다가 1997년 이후 당시 해양수산부가 주무 부처가 되어 재원을 조달하고 사업을 추진하였다.

2010년 11월 30일 진례부산신항 구간은 주9, 부산신항북철송장 구간(신항북선)은 주10 비전철로 개통하였고, 이듬해 2011년 11월에는 진례부산신항 구간을 주11. 2013년 1월에는 남컨테이너 주12인 부산신항남철송장 구간(신항남선)을 비전철 단선으로 개통하였다. 2019년 4월에는 철도 노선 번호 변경에 따라 부산신항선을 30706으로, 신항북선을 30709로, 신항남선을 30710으로 변경하였다.

향후 부전마산 간 복선 주13 개통이 이루어지면 부산신항선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현재 공사 중인 부전마산 간 복선 전철 건설 사업은 경전선과 동해남부선을 직결하여 마산창원진주김해부산울산 간 전철 승객들에게 교통 편의를 제공하고, 남해고속도로의 정체를 일부 해소할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부전마산 간 복선 전철 구간이 개통되면 경전선 본선으로 편입될 예정이며, 이에 따라 기존 경전선 구간인 삼랑진진례 구간은 경전선 대신 부산신항선의 일부가 될 예정이다. 즉, 부전마산 간 복선 전철 개통과 함께 부신신항선은 기존 진례부산신항에서 삼랑진부산신항으로 변경이 이루어지게 된다.

현황

현재 부산신항선은 1개 역과 1개 무배치 주14으로 운영 중이다. 2022년 기준, 컨테이너 화물 수송량은 부산신항선 12,139톤, 신항북선 1,254,448톤, 신항남선 584,957톤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부산신항 배후수송철도 건설사업 예비타당성조사』,(KDI 공공투자관리센터, 1999)
『부전~마산 복선전철 건설사업 타당성 재조사』,(KDI 공공투자관리센터, 2010)
『2022 철도통계연보』(한국철도공사·국가철도공단, 2023)

인터넷 자료

한국철도공사(www.letskorail.com)
주석
주1

물자가 이동하는 양. 우리말샘

주2

화물 열차만이 운행하는 철도. 우리말샘

주3

경상남도 김해시에 있는 면. 김해시의 서부에 위치해 있으며, 북쪽을 제외한 삼면이 산지로 둘러싸인 분지 지형이다. 남쪽에 대암산이 솟아 있으며, 중앙부에 화포천이 흐른다. 하천 주변으로 농경지 넓게 펼쳐져 있으며, 북동쪽과 남동쪽에 일반 산업 단지가 들어서 있다. 경전선ㆍ남해 고속 도로ㆍ1042번 지방도가 지나며, 문화재로 ‘김해 시례리 염수당(金海詩禮里念修堂)’ㆍ‘김해 관음정사 소조 보살 좌상(金海觀音精舍塑造菩薩坐像)’등이 있다. 우리말샘

주4

경상남도 김해시에 있는 동. 김해시의 남부에 위치해 있다. 동쪽에 옥녀봉이 솟아 있으며, 중앙부 및 북쪽에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 있다. 58번 국도ㆍ1030번 지방도가 지난다. 우리말샘

주5

부산광역시 강서구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일원에 있는 항구. 1997년에 착공하여 2006년부터 순차적으로 개장 중이다. 우리말샘

주6

경상남도 밀양시에 있는 읍. 서쪽 경계를 따라 흐르는 밀양강이 남쪽 경계를 따라 흐르는 낙동강에 합류한다. 복숭아, 딸기 등의 다양한 농산물이 나고, 세라믹 등의 공산품이 생산된다. 우리말샘

주7

지하자원, 목재, 농수산물 따위의 원활한 수송을 위해 건설된 철도. 영동선, 태백선, 정선선, 충북선 등이 있다. 우리말샘

주8

국토 종합 개발 계획의 수립ㆍ조정, 도시ㆍ도로ㆍ항만ㆍ주택의 건설, 국토 및 수자원의 보전ㆍ이용ㆍ개발 및 개조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던 중앙 행정 기관. 2008년 2월 해양 수산부 일부 등과 함께 국토 해양부로 통합되었다. 우리말샘

주9

겹으로 된 줄. 우리말샘

주10

단 한 가닥의 줄. 우리말샘

주11

전철이 다닐 수 있는 철도로 만들다. 우리말샘

주12

배를 댈 수 있는 부두의 안쪽 선. 우리말샘

주13

선로를 두 가닥 이상으로 깔아 놓은 전기 철도. 우리말샘

주14

일반 역과는 달리 역무원이 없고 정차만 하는 역. 우리말샘

주15

수송 화물은 대부분 컨테이너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