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서역 ()

목차
관련 정보
교통
지명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있는 철도역.
지명/시설
건립 시기
2016년 12월 9일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수서역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있는 철도역이다. 수서역은 수서 평택 고속선(水西平澤高速線)의 시 종착역으로서 2016년 12월 9일 수서 평택 고속선 개통과 함께 고속철도 영업을 개시하였다. 지하철 3호선과 수인분당선(水仁盆唐線)이 역과 직접 연결되어 역에서 지하철로 바로 환승이 가능하다.

정의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있는 철도역.
형성 및 변천

수서역은 수서 평택 주1의 시 종착역으로서 2016년 12월 9일에 수서 평택 고속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하였으며, ㈜에스알(SR)에서 운영 중이다. 향후 2024년에 준공 예정인 수도권 광역 급행 주2 A(GTX-A) 노선이 정차하는 주3 수서역과 환승 통로로 연결될 예정이며, 2030년을 개통 목표로 추진 중인 수서~광주선(2023년 2월에 기본 계획이 고시(告示)) 건설 사업에 의해 통합 역사로 규모가 확대될 예정이다.

구성

수서역에서는 지하철 3호선과 주4이 직접 연결되어 역에서 지하철로 바로 환승이 가능하다. 또한 지하철 2·5·8호선, 주5은 물론 동부 간선 주6에 인접해 있기도 하다. 수서역사는 지상 3층 지하 2층으로 건축되었다. 지하 1층, 지하 2층에 각각 맞이방이 자리 잡고 있으며, 맞이방에는 안내 키오스크, 무인 휴대 전화 충전함, 물품 보관함, 대기 의자 등이 갖춰져 있다. 지하 1층에는 매표 창구와 수유실, 고객 건강 라운지 등이 자리 잡고 있으며, 지하 2층에서는 서울 지하철 3호선 및 수인분당선 수서역과 환승 통로로 연결된다. 승강장이 같은 층에 연결되어 있어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 이용 없이 열차 탑승이 가능한 구조이다. 승강장은 저상 주11을 사용하며 3홈 6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향후 이엠유(EMU)-250 열차가 운행될 수서 광주선은 3홈 6선 규모의 고상 홈 설치를 계획하고 있다. 수서역 서측에는 596면 규모의 공영 주차장이 위치하여 승용차를 이용한 환승객이 이용할 수 있다.

수서역사의 지붕은 너른 수서 들판 위를 나는 전통 연의 모습을 하고 있다. 역사 앞 광장은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이고 동시에 세계로 나아가는 철도의 미래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역사 전면에는 주12의 풍경이 투영 반사되는 커튼 주13을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소음과 열은 차단하면서도 빛과 풍경을 담아내고자 하였다.

현황

수서역은 경부 축(부산역행, 상‧하행 각각 평일 35회, 주말 40회), 호남 축(목포역행, 상‧하행 각 20회) 주14 고속 열차의 출발‧종착역이며, 하루 1회 동탄에서 수서로의 출근 열차도 운행되고 있다. 2023년 9월 1일부터는 운행 노선을 확대하여 전라선(全羅線)(여수엑스포역행), 경전선(慶全線)(진주역행), 주15 (포항역행)에 대하여 상‧하행 각 2회씩 운행을 시작하여 총 5개 노선의 출발역이 되었다. 향후 수서 광주선이 개통되면 경강선(京江線)과 연계하여 강릉역, 중앙선(中央線)과 연계하여 부전역, 중부‧남부 내륙선과 연계하여 거제역으로 출발하는 케이티엑스(KTX)-이음 열차의 주16이 될 예정이다. 2022년을 기준으로 여객 이용객 수는 총 1520만 4695명이며 이 중 승차 인원은 756만 1348명, 하차 인원은 764만 3347명이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철도역 이야기』 (국가철도공단, 2022)
『2022 철도통계연보』 (한국철도공사, 국가철도공단, 2023)
『수서~광주 복선전철 건설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한국개발연구원, 2019)

인터넷 자료

SRT(https://etk.srail.kr/main.do)

기타 자료

수서~광주 복선전철 건설사업 기본계획 고시문 (국토교통부 제2023-102호)
주석
주1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역에서 경기도 평택시 지제역을 잇는 고속 철도. 2016년 12월에 개통하였다. 길이는 61.1km. 우리말샘

주2

서울ㆍ경기도 구간과 서울 내부 구간을 빠른 속도로 운행하는 철도. 2017년 완공을 목표로 공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 철도가 완공되면 수도권은 한 시간대 생활권이 된다. 우리말샘

주3

경기도 간 도시를 잇는 수도권 광역 급행 철도. 2011년에 착공하여 건설 중이다. 수도권의 교통난 해소를 위해 도입되었으며, 세 구간으로 나뉘어 단계적으로 개통된다. 최고 시속은 200km이며, 길이는 145.5km이다. 우리말샘

주4

인천광역시에서 서울특별시 청량리를 잇는 수도권 전철 노선. 기존에 있던 분당선과 수인선을 통합하여 만든 노선이다. 길이는 108km. 우리말샘

주5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경기도 수원시를 잇는 전철 노선. 2011년 10월에 강남역부터 정자역까지 개통하였고, 2016년 1월에는 정자역부터 광교역까지 개통하였다. 2018년 4월에는 기존의 미금역을 분당선으로 바꾸어 탈 수 있는 환승역으로 새로 개통하였다. 길이는 31.1km. 우리말샘

주6

서울특별시 노원구에서 송파구를 잇는 간선 도로. 1988년에 착공하여 1997년에 개통되었다. 길이는 33km. 우리말샘

주8

공공시설에서 손님이 기다리며 머물 수 있도록 마련한 곳. 우리말샘

주9

역ㆍ관청ㆍ병원ㆍ박물관 따위의 공중 장소에 설치하는 무인 정보 단말기. 불특정 다수가 터치 패널 따위의 맨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필요한 정보에 접근하거나, 여러 가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규범 표기는 미확정이다. 우리말샘

주10

호텔이나 극장, 공항 따위에서 잠시 쉬어 갈 수 있는 곳이나 만남의 장소. 우리말샘

주11

지평면에 콘크리트 포장을 하여 화물을 쉽게 싣고 내릴 수 있게 한 승강장. 트럭 등으로부터 직접 상하차를 할 수 있어 하역 능률이 높다. 우리말샘

주12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산. 조선 태종과 비(妃)를 모신 헌릉이 인근에 자리하면서 지금의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인근에 불국사, 헌인릉 따위가 있다. 높이는 293미터. 우리말샘

주13

칸막이 구실만 하고 하중을 지지하지 아니하는 바깥벽. 고층 건축에서 많이 사용한다. 우리말샘

주14

서울과 부산, 서울과 목포를 잇는 고속 철도. 2008년에 착공하여 2016년 개통되었다. 수서역에서 지제역 구간은 수서 고속 철도의 전용 선로를 운행하고 천안 아산 역에서 부산역, 천안 아산 역에서 목포역 구간은 한국 철도 공사의 공용 선로를 운행한다. 최고 시속은 330km이며, 길이는 61.1km이다. 우리말샘

주15

남북 분단 전에, 함경남도 안변과 강원도 양양 사이를 잇던 철도. 길이는 208km. 우리말샘

주16

기차나 전차 따위가 처음 출발하는 역.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