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학궤범 ()

목차
관련 정보
악학궤범 표지
악학궤범 표지
국악
문헌
1493년 성현 · 유자광 등이 왕명으로 조선시대의 의궤와 악보를 정리하여 편찬한 악서(樂書). 예술서.
목차
정의
1493년 성현 · 유자광 등이 왕명으로 조선시대의 의궤와 악보를 정리하여 편찬한 악서(樂書). 예술서.
내용

9권 3책. 인본(印本). 1493년(성종 24)에 예조판서 성현, 장악원제조 유자광(柳子光), 장악원주부 신말평(申末平), 전악 박곤(朴棍)·김복근(金福根) 등은 왕명을 받아 당시 장악원에 있던 의궤와 악보가 오래되어 헐었고 요행히 남은 것들도 모두 엉성하고 틀려서, 그것을 수교(讎校:다른 것과 대조하며 校訂함)하기 위하여 새로운 악규책(樂規冊)을 편찬하게 되었다.

내용을 보면 권1은 60조도(調圖)로 시작하는데, 궁(宮)에 의하여 60조의 중심음(中心音)을 빨리 알아볼 수 있게 만들었으나, 이 60조는 우리 나라에서는 이론에 그쳤고, 그 중 12궁조만이 실제 사용되었다.

실제 우리 나라에서 4청성(四淸聲)만을 사용하여 12궁을 그린 시용아악12율7성도(時用雅樂十二律七聲圖), 세종 때 등가(登歌)와 헌가(軒架)의 율을 시정하는 데 그 근거를 제공한 율려격팔상생응기도설(律呂隔八相生應氣圖說), 12율관의 길이와 둘레를 숫자로 도설한 12율위장도설(十二律圍長圖說)·반지상생도설(班志相生圖說), ≪율려신서≫를 인용하였으나 실제의 음악과는 관계되지 않은 양률음려재위도설(陽律陰呂在位圖說), 변치(變徵)와 변궁(變宮)의 사용을 이단시하고 궁이 상(商)이나 각(角)보다 높이 되는 것을 금하는 오성도설(五聲圖說)을 설명한다.

그리고 여덟 가지 재료로 만들어진 악기를 설명한 팔음도설(八音圖說), 연향에 쓰이는 당악(唐樂)의 28조를 악서에서 인용하여 5음 12율로 설명한 오음율려28조도설(五音律呂二十八調圖說), 정현(鄭玄)의 ≪주례 周禮≫ 주(註)와 악서를 인용하여 설명한 삼궁(三宮), 세종 때 쓰인 강신악조를 ≪주례≫와 ≪송사 宋史≫의 그것들과 비교, 설명한 삼대사강신악조(三大祀降神樂調), 한국음악의 악조(樂調)를 설명한 악조총의(樂調總義), 세조가 창안하여 기보(記譜)에 사용한 것을 다룬 오음배속호(五音配俗呼), 공척보(工尺譜)에 쓰이는 음명의 음 높이를 당적(唐笛) 같은 당악기 대신에 향악기인 대금(大笒)의 음으로 예시한 12율배속호(十二律配俗呼)를 설명하고 있다.

권2는 아악진설도설(雅樂陳設圖說)과 속악진설도설(俗樂陳設圖說)을 설명한 것으로 이는 실제 성종 당시의 여러 제향과 조회·연향 때 악기를 진설하는 법을 그 전의 오례의(五禮儀)와 세종 때의 그것들과 비교하여 도설하였다.

또한 제향에 쓰이는 아악의 악보와 악장(樂章)을 게재하고, 성종 당시의 조회·연향에 쓰이는 음악의 절차·곡목·춤 이름을 세종 때의 회례연의(會禮宴儀)와 비교·기술하며, 음악을 시행하는 절차를 기술한 것으로 오례의 또는 의궤(儀軌)와 같은 성격을 띠었다.

권3에서는 ≪고려사≫ 악지의 당악정재(唐樂呈才)와 속악정재(俗樂呈才)를 설명하였다. 권4에서는 성종조의 당악정재도의(唐樂呈才圖儀)를 소상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권3에 없는 박(拍)을 추가하여 그 박으로 춤사위의 변하는 것을 일일이 알려주며, 단순한 정재홀기(呈才笏記)에 그치지 않고 전래의 당악정재를 완전히 보존하려는 의도를 엿보게 한다.

권5에서는 성종 때의 향악정재도의(鄕樂呈才圖儀)를 소상하게 기술하고 도시(圖示)한 것 이외에 한글로 적힌 <동동>·<정읍>·<처용가>·<진작 眞勺>의 노래를 보여 준다.

<동동>과 <정읍>의 가사는 ≪대악후보 大樂後譜≫와 ≪악장가사 樂章歌詞≫에도 없고, 오직 ≪악학궤범≫에서만 볼 수 있는 노래이여서 국문학적으로 귀중한 자료이다.

권6의 아부악기도설(雅部樂器圖說)과 권7의 당부악기도설(唐部樂器圖說)은 먼저 악기의 전체 모양을 그림으로 보이고, 그 그림에다 악기의 치수를 일일이 적고, 그 재료를 설명하였다. 이는 실제 악기제작에 참고가 되게 하려는 의도가 담긴 것임을 알 수 있다.

권8 중 당악정재의물도설(唐樂呈才儀物圖說)은 당악정재에 쓰이는 의물과 복식을 그림으로 전체 모양을 그리고 여기에다 치수를 기입하고 그에 쓰이는 재료를 적어서, 실제 그 제작을 가능하게 설명하고 있다.

향악정재악기도설(鄕樂呈才樂器圖說)은 아박(牙拍)·향발(響鈸)·무고(舞鼓)·후도처용무(後度處容舞)에서 춤추는 사람이 쓰는 악기를 그림으로 그리고 여기에다 치수를 기입, 설명한 것이다.

권9의 관복도설(冠服圖說)은 악사(樂師)와 악공(樂工)들의 관복, 세종 때 회례연에 아악이 사용된 때의 무무공인(武舞工人)의 복식, 처용관복(處容冠服)·무동관복(舞童冠服)·여기복식(女妓服飾)을 그림으로 그리고, 그 치수를 적어 그 책을 보고 관복을 지을 수 있게 설명하였다.

임진왜란 후 전에 있던 악기와 악제가 불타서 없어졌으나, ≪악학궤범≫만은 되찾아 1610년(광해군 2)에 복각되었으며, 1655년(효종 6)과 1743년(영조 19)에 다시 복각되었다.

1933년 고전간행회(古典刊行會)에서 영인으로 간행되었으며, 1968년에는 임진란전판(壬辰亂前版)이 이홍직(李弘稙)에 의하여 일본에서 발견되어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에서 영인본으로 발행되었고, 그 뒤 1975년 아세아문화사에서 영인으로 발행되었다. 우리 나라에서의 최고본은 1610년의 태백산본(太白山本)으로 현재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1979년에는 ≪국역악학궤범≫이 민족문화추진회에서 간행되었다. 2권으로 나뉘었는데, 1권에는 권1부터 권4까지를, 2권에서는 권5부터 권9까지를 각각 주석을 달아 설명하고 있다. 국역 대본은 임진왜란 이전 본인 일본 호사문고본(蓬佐文庫本)이다.

≪악학궤범≫의 내용은 12율의 결정(決定)과 여러 제향에 쓰이는 악조(樂調)에서부터 악기의 진설(陳設), 정재춤의 진퇴(進退), 악기·의물(儀物)·관복(冠服)에 이르기까지, 제향·조회·연향의 음악 연주에 필요한 사항들을 빠짐 없이 망라하였으며, 특히 성종 당시의 아악·당악·향악 등 음악 전반을 포함하였다.

설명방법은 서술법을 요하지 않고, 음악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그린 기술법을 채택하였는데, 그 내용이 치밀하고 정확하게 기술되어, 음악의 유실(遺失)을 방지하려는 찬정(撰定:詩文을 지어서 골라 정함)의 목적을 달성하였다.

의의와 평가

오늘날에도 성종 당시의 음악 전반을 자세히 기술한 ≪악학궤범≫이 폐절(廢絶)된 음악을 복구하는 실용적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학술적인 면에서도 중요시된다. 성종 당시의 음악을 기준으로 하여, 그 이전과 그 이후의 음악을 비교,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며, 또 한편 <동동>과 <정읍>의 기사는 국어국문학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참고문헌

『악학궤범(樂學軌範)』
『한국도서해제』(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71)
『국역 악학궤범』(민족문화추진회, 1979)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