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이단폐사(日本 伊丹廢寺)
이타미하이지(伊丹廢寺)는 1958년부터 1965년까지 일곱 차례의 발굴조사가 행해져, 사원의 규모와 가람배치, 기단축조 수법, 건립 및 폐사 시기 등이 밝혀졌다. 이타미하이지는 8세기 초반에 이 지역의 유력 호족에 의해 건립되어 15세기 무렵에 폐사된 사찰이다. 가람배치는 남쪽을 향해 동쪽에 금당과 서쪽에 목탑을 좌우로 나란히 배치한 호류지식(法隆寺式)이다. 금당 기단의 규모는 동서 20m, 남북 18m이며, 축조방식은 지복(地覆)에 벽돌을 깔고, 그 위에 작은 돌(栗石)과 기와를 교차로 쌓아 올리는 와적기단(瓦積基壇)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와적기단은 백제에서 성립하여 발전한 것으로 정림사지와 능산리 사지, 부소산 사지, 왕흥사지 등 백제의 건축에서 발견되고 있다. 일본에서 이러한 축단방식이 널리 보급되는 것은 66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