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장방형의 지대석(地臺石)과 귀부가 하나의 석재로 조성되었다. 지대석의 전면 양 모서리는 모를 죽여 사선형을 이루고 있다.
귀부는 앞과 뒤에 각각 2발이 모두 표현되었는데, 모두 4개씩의 발가락이 묘사되었다. 전면의 발가락은 발톱이 앞을 향해 전진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는 반면, 후면의 발가락은 양옆으로 퍼져 앞발의 전진을 밀어주는 형상을 보이고 있어 전체적으로 생동감을 느낄 수 있다.
귀부의 머리는 평면적으로 등에 비해 약간 높게 조성되었는데, 상면은 평판적이다. 꽉 다문 이빨, 동그란 눈, 갈귀 등이 묘사되어 있는데, 마멸이 심한 편이다.
등에는 6각형의 귀갑문(龜甲文)이 조각되었는데, 내면 중앙에는 王과 卍자가 양각되어 있다. 귀부의 등에는 장방형의 비좌(碑座)가 마련되어 있다.
본래는 고려 초기에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를 지냈던 김심언(金審言)이 지은 통진대사비의 비좌로 쓰였다고 하는데, 현재는 새로 조성된 비석이 건립되어 있다. 길이 2.2m, 너비 1.9m, 높이 92㎝의 규모인데, 전체적인 수법으로 보아 고려 초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