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대사 삼층석탑 ( )

목차
관련 정보
함양 금대사 삼층석탑
함양 금대사 삼층석탑
건축
유적
문화재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금당사에 있는 고려전기 3층 석조 불탑. 시도유형문화재.
목차
정의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금당사에 있는 고려전기 3층 석조 불탑. 시도유형문화재.
내용

높이 2.5m. 1972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2층 옥개석이 약간 파손되었을 뿐 전체적으로 완전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기단(基壇)은 별도로 조성하지 않고 산록에서 흐르는 자연암반의 상면을 평평하게 다듬어 활용하였다.

자연암반의 상면에 바로 초층탑신을 놓아 삼층석탑을 구성하였는데, 탑신석과 옥개석은 각각 하나의 석재로 구성하였다. 탑신석의 각 면에는 양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가 새겨졌는데, 1층에서 3층에 이르기까지 알맞은 체감비를 보이고 있다.

옥개석은 탑신에 비해 크고 넓게 조성되어 마치 탑신석을 덮고 있는 느낌을 주고 있다. 옥개받침은 매층 각형 3단의 받침을 조출하여 규율성을 보이고 있다. 낙수면의 경사가 완만하고, 처마가 길게 조성되어 전각(轉角)에 이르러 완만한 반전(反轉)을 보이고 있다.

각 층의 옥개석은 넓게 조성되어 있고, 탑신석과 같이 일정한 체감비(遞減比)를 보이고 있어 석탑 전체에 안정감을 주고 있다. 정상에는 노반석(露盤石) 위에 하나의 석재로 조성된 복발(覆鉢) · 앙화(仰花) · 보륜(寶輪) · 보개(寶蓋) · 보주(寶珠)가 남아 있다.

이 석탑은 기단을 자연암반으로 대체한 점으로 보아 특수형 석탑의 범주에 놓일 수 있다. 이같은 형식은 통일신라시대 말기에 출현하여 고려시대에 널리 유행된 석탑의 유형으로, 산천 비보사상(裨補思想 : 명산에 절을 세우면 국운이 흥한다는 불교신앙)에 건탑(建塔)의 기반을 두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 석탑은 각 부분이 조화를 이루며 특히 옥개석 부분이 가볍고 날렵하게 처리되어 안정감을 주고 있는데, 전체적인 양식과 석재의 조립수법을 볼 때 고려시대 초반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경남문화재대관(慶南文化財大觀)』 -도지정편(道指定篇)-(경상남도, 1995)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覽)』(문화재관리국, 1977)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박경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