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5년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탑신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8각원당형의 구도를 보이고 있다. 지대석은 3단의 각형괴임으로 마련되었는데, 자연 암반과 1석으로 조성되어 있다. 기단부 역시 8각으로 조성되었는데, 상면의 단 중앙에 1조의 음각선을 돌렸다.
탑신부는 원구형(圓球形)으로 기단에 홈을 파서 올려놓아 안정감을 주고 있다. 탑신의 하단에는 복엽16판의 앙련(仰蓮)을 조식하였는데, 각 연판의 사이에는 간엽을 표시하고 있다. 옥개석은 상륜부까지 1석으로 조성되었다.
옥개석의 하면에는 낮은 각형 3단의 받침을 조출하였고, 상면의 합각선은 두툼하게 표현하였을 뿐만 아니라 끝부분에 1구씩의 귀꽃을 조식하고 있다. 옥개석의 상면에는 복엽8판의 연화문대 상면에 연주문대를 두른 후 보주(寶株)를 놓았다.
부도의 전면에 배례석으로 놓인 157㎝×105㎝×30㎝ 크기의 장방형 석재의 한면에 ‘慧炬塔’이라 음각되어 있어 부도의 주인공을 알려주고 있다. 전체적인 조형감각 및 세부 수법으로 보아 조선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