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3.2m. 1974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석탑이 건립된 지역은 경작지로 변해 사찰의 규모나 내력 등을 알 수 없으나, 인근에서 수습되는 기와조각과 자기조각으로 보아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에 걸쳐 법등(法燈:불법)을 이었던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네모난 2중기단 위에 삼층탑신을 올린 일반형 석탑으로 기단의 수법을 보아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양식을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층기단의 면석(面石)에는 양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와 한 개의 탱주(撑柱 : 받침기둥)를 새겼고, 상면에는 1매의 판석으로 된 갑석(甲石)을 놓았다.
갑석의 상면에는 낮은 각형 1단의 받침을 조출하여 상층기단을 받고 있다. 상층기단의 면석에도 양 우주와 1주의 탱주를 모각하였는데, 상면에는 1매의 판석으로 구성된 상층기단 갑석을 놓았다. 상층기단 갑석의 하면에는 낮은 각형 1단의 부연(副椽 : 갑석 하부에 두른 쇠시리)이 있고, 상면에는 낮은 각형 1단의 탑신받침을 조출하였다.
탑신석과 옥개석은 각각 하나의 석재로 구성되었다. 탑신석에는 양 우주만이 모각되어 있는데, 3층탑신은 노반석(露盤石)으로 보인다. 옥개석의 전체로 볼 때 투박하고 둔중하게 조성되어 고려시대 석탑의 양식이 잘 나타나 있다.
옥개받침은 각층 4단씩으로 동일한데, 추녀는 수평을 이루다가 전각(轉角)에 이르러 심하게 반전되고 있다. 그런데 낙수면의 경사가 급하고 길이가 짧아 전각의 반전이 경쾌하지 못하고, 둔중한 느낌을 주고 있다. 각 옥개석의 상면에는 각형 1단의 받침을 조출하여 탑신을 받고 있으며, 정상에는 복발(覆鉢)로 추정되는 부재가 놓여 있다.
이 석탑은 이층기단을 구비하는 등 통일신라시대의 석탑 양식을 계승하고 있지만, 탑신부에 비해 기단부가 크고, 옥개석에 표현된 수법 등으로 볼 때 고려시대 중기 이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