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맞배기와건물. 본래 강릉객사의 정문으로, 오늘날 주건물은 모두 없어지고 그 정문만이 강릉경찰서 마당에 남아 있다.
전해 오는 말에 따르면, 승려 범일(梵日)이 관사(官舍) 터에 절을 지었으나 절은 병화(兵火)로 소실되고 그 문만이 남아 있다가 그 자리에 부관(府館)을 옮겨 지음으로써 객사문이라 불리게 되었다고 하며, 염양사(艶陽寺)의 삼문(三門)을 객사로 옮겨 지었기 때문에 사문(沙門)이라 불려 왔다고도 한다.
양식은 주심포식(柱心包式)으로 되어 있고, 그 평면은 측면 중앙칸 자리에 세운 기둥들 사이사이에 커다란 널판장문을 쌍으로 정면 3칸에 달아 실(室)은 하나도 없다.
본래의 기단 모양은 어떠했는지 알 수 없고, 막돌초석 위에 배흘림이 뚜렷한 두리기둥을 세웠는데, 측면 중앙 옆에서 문짝을 달게 된 기둥들만은 방주(方柱)를 세운 것이 주목된다.
기둥 윗몸은 창방(昌枋)으로 결구(結構)하고, 거기에서 헛첨차를 내어 주두(柱頭: 대접받침) 위에 놓은 초제공(初諸工) 위의 첨차를 받치고 있다.
기둥 위에 놓은 주두와 헛첨차 위에 놓은 소로[小累]들은 굽면이 모두 곡면이고 굽받침이 있으며, 또 헛첨차가 있고 첨차의 밑면은 모두 연화두형(蓮花頭形)으로 조각되어 있어서 부석사 무량수전이나 수덕사 대웅전의 주두 및 첨차와 그 모습이 흡사하다.
그러나 수덕사 대웅전에서는 헛첨차의 안쪽에 보아지가 있어 퇴보[退樑]를 받치고 있지만, 이 객사문에서는 보아지가 없고 창방이 직접 결구되어 있다.
공포(栱包)는 외이출목(外二出目) · 내일출목(內一出目)으로, 초제공 위에는 일반적으로 살미첨차를 놓는 것과는 달리 보를 놓고, 보머리[樑頭]끝을 쇠서[牛舌]로 하였음이 특이하다.
문루에는 고려시대 공민왕의 친필인 ‘임영관(臨瀛館)’이라는 가로 3m, 세로 1.2m 크기의 현판이 걸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