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대도호부 관아 ( )

목차
관련 정보
강릉대도호부 관아 전경
강릉대도호부 관아 전경
건축
유적
국가유산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 있는 고려시대 중앙의 관리들이 강릉에서 머물던 여관터. 객사터 · 객관터.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강릉대도호부 관아(江陵大都護府 官衙)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궁궐·관아/관아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1994년 07월 11일 지정)
소재지
강원 강릉시 임영로131번길 6 (용강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 있는 고려시대 중앙의 관리들이 강릉에서 머물던 여관터. 객사터 · 객관터.
내용

1994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1993년 강릉시 청사 신축예정 용지에 대한 발굴조사로 드러난 강릉 객사터이다.

현재 강릉 임영관 삼문은 이 터의 남측에 1962년 국보로 지정 보존되어 있고, 서측에는 임진왜란 이후 경주에 있던 태조이성계의 어진을 모셔다 봉안하였던 집경전(集慶殿)터가 있다.

조선 영조 때인 1750년대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임영지(臨瀛誌)』에 의하면, 임영관은 936년(고려 태조 19)에 창건되었고, 그후 1627년(인조 5) 대청(大廳)이 화재를 당하여, 1633년 부사 유문화(柳文華)가 다시 건축하였다. 그후 수차례의 중수와 중창을 거쳐 1927년에 이르렀다.

『임영지』에 의하면, 강릉객사의 규모는 전대청(殿大廳) 9칸, 중대청 12칸, 동대청 13칸, 낭청방(廊廳房) 6칸, 서헌(西軒) 6칸, 월랑(月廊) 31칸, 삼문(三門) 6칸 등 모두 83칸이었다고 한다.

1993년도의 발굴조사에서 고려 초기부터 중기 이후, 조선시대의 연화문 암 · 숫막새들과 조선시대 와편들, 11세기에서 15세기에 이르는 고급 청자편들, 16 · 17세기의 조선 백자 및 분청자기편들이 양호한 상태로 나왔다.

이들 출토품 및 유구, 『임영지』의 기록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임영관은 고려 초기부터 1927년 1차, 1929년 2차의 강릉공립보통학교 설립에 따라 일제에 의하여 철거될 때까지 이 터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건물에는 본래 공민왕이 1366년(무오년)에 낙산사 관음에 후사를 빌기 위하여 왔다가 길이 막혀 열흘동안 강릉에 머물렀을 때 쓴 ‘임영관(臨瀛館)’ 편액이 있었다. 그러나 현재 객사문에 걸려 있는 편액은 1970년대에 다시 모사 제작한 것이다.

임영관지는 1993년 이곳에 있던 경찰서의 철거로 빈터로 남아 있다가 1993년 5월 10일 강릉시 청사 신축기공식 후 관상수를 옮겨심기 위하여 캐내던 중 임영관의 건물유구가 노출됨으로써 곧 발굴조사에 착수하여 사적으로 지정하게 되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