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운사 건칠불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조각
유적
서울특별시 성북구 개운사에 있는 고려시대에 제작된 불상.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성북구 개운사에 있는 고려시대에 제작된 불상.
내용

높이 1.18m. 왼손을 평행되게 처리하여 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의 손모양을 취하고, 길상좌(吉祥坐 : 왼발을 오른쪽 넓적다리 위에 놓은 다음에 오른발을 왼쪽 넓적다리에 놓은 모습)를 하였다.

어깨를 약간 움츠리면서 앞으로 머리를 약간 숙이고 있는데 배를 내밀고 무릎을 직각으로 세워 다소 당당하게 보이는 체구이다. 둥근 얼굴에 이마는 좀 넓고, 턱을 짧게 하였으며, 눈·코·입을 얼굴 중심부로 몰아 오밀조밀한 느낌을 준다.

통견(通肩)의 불의(佛衣)는 왼쪽 어깨에 네 가닥의 옷주름이 표현되었고, 여기서 팔로 내려간 일곱 줄의 옷주름으로 번잡해진 Ω형 주름이다. 또, 무릎 앞면과 왼쪽 무릎에 팔의 소맷자락이 늘어져 있으며, 승각기의 치레와 띠매듭이 사라지고 주름이 표현되었다.

이러한 특징은 경기도 화성시봉림사(鳳林寺)의 1362년에 조성한 목조아미타불좌상(보물, 1989년 지정)과 거의 흡사한데, 물론 얼굴의 도금이 후보(後補)한 것이어서 봉림사의 불상만큼 단엄하게 보이지 않지만 기본적으로 유사한 형태를 지니고 있다. 또, 재료는 나무가 아니라 베[布]에 칠을 한 건칠불이라는 것이 봉림사의 불상과 다르다.

참고문헌

「고려후기(高麗後期) 단아양식(端雅樣式)(신고전적양식(新古典的樣式)불상(佛像)의 성립(成立)과 전개(展開)」(문명대, 『고문화』22,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83)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문명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