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머리는 나발(螺髮)이고 육계(肉髻)는 아주 작으며, 얼굴은 둥글고 이목구비가 선명하다. 부은 듯한 두 눈은 반쯤 뜨고 있으며 입에는 미소를 약간 띤 자비스러운 표정으로 부드러운 인상을 준다. 목은 굵고 짧으며 삼도(三道)가 선각(線刻)되어 있다.
머리 부분에 비해 좁은 양어깨에는 대의(大衣)를 통견으로 걸쳐 다리에 각각 U자형의 옷주름을 만들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치마인 군의(裙) 위에 V자형의 대의 자락이 내려와 있다. 그 아래로 수직 주름이 선각된 긴 군의가 발등까지 덮고 있으며 군의의 끝단이 상세히 표현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군의의 양쪽 자락이 서로 맞닿은 중앙에는 군의의 한 쪽이 접혀진 형태까지도 상세히 표현되어 있다. 대의의 의습(衣褶: 옷주름)이 얕게 새겨진 뒷면에는 대의 끝단이 S자형의 주름을 만들고 있는데, 정면보다 양감이 적어 긴 원기둥 같은 형태이다.
손은 신체에 밀착되어 오른손은 밑으로 내려 대의 자락을 쥐고 있고, 왼손은 집게손가락만 곧게 펴고 엄지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을 서로 맞대고 있다. 발밑에는 대좌에 꽂기 위해 만들었을 대좌 촉이 겹꽃잎의 연꽃이 아래로 향하여 감싸고 있는 부분에 부착되어 있으며, 대좌 앞에는 조금 넓은 단판의 연화대석이 놓여 있다.
불상 주위의 절터에서 기와 조각들이 나왔고, 이 일대의 지명이 노혜(老惠)이며, 노혜사(老惠寺) 또는 금양사(金陽寺)라고 하는 절이 있었다고 전하는 것도 참고할 만하다. 불상 위에 얹어 놓은 천개(天蓋)는 근래에 만들어진 것이다.
이 불상은 머리 부분에 비해 신체는 그다지 풍만하지 않으나, 늘씬한 체격으로 훌륭한 비례를 지녀, 통일신라 말기인 9세기경에 제작된 거불조각(巨佛彫刻)들과 함께 이 시대의 불상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