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한송사지 석조 보살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조각
유적
국가유산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오죽헌시립박물관에 소장된 고려시대 석조 불상.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江陵 寒松寺址 石造菩薩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강원 강릉시 율곡로3139번길 24, 강릉시립박물관 (죽헌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오죽헌시립박물관에 소장된 고려시대 석조 불상.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신체 높이 56㎝. 강릉 오죽헌시립박물관 소장. 국립춘천박물관 소장의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국보, 1967년 지정)과 짝을 이루는 보살상으로 추정된다. 머리 부분과 오른팔을 잃었으며 마멸이 심하나 남아 있는 신부(身部)가 당당하며 조각 기법도 우수하다.

이 석조보살좌상은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과 마찬가지로 대리석을 재료로 하여 부드러운 인상을 준다. 목의 단면을 살펴보면 중앙에 구멍이 있는데 제작 당시 두부(頭部)와 신부를 따로 만들어 이어 붙였던 것 같다. 머리가 없어 원래 쓰고 있던 관의 형태는 알 수 없지만, 남아 있는 불신(佛身)의 등과 양어깨에 각각 세 갈래의 수발(垂髮)이 대칭되게 네 다발 조각되었고 관에서 내려오는 수식(垂飾)이 없는 것으로 보아, 국립중앙박물관의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처럼 수식이 있는 관은 아니었을 것이다.

천의(天衣)나 군의(裙衣)가 두꺼워서 신체의 굴곡은 느껴지지 않으나 옷주름은 비교적 자연스럽게 표현되었다. 한편 오른팔을 잃어 오른손의 일부만 무릎 위에 올려져 있고 왼손은 크고 둥근 보주를 감싸쥐고 있는데 마멸이 심하다.

이 보살상의 앉은 자세는 국립중앙박물관의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과 마찬가지로 다리를 편안히 두는 서상(舒相)을 취하고 있다.즉 왼쪽 다리를 안에 두고 오른쪽 다리를 밖으로 하는 우서상(右舒相)인데, 국립중앙박물관의 보살상은 그와 반대의 자세를 취하고 있어 두 보살상이 쌍을 이룬다는 추측을 보다 확실하게 해준다.

따라서 이 보살상은 국립중앙박물관의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과 함께 신라의 조각 전통을 따른 고려 초기(10세기 전반)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5(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고려초기 명주지방의 석조보살상에 대한 연구」(최성은,『불교미술』5, 동국대학교박물관, 1980)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