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지산성 ()

건축
유적
국가유산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위치한 삼국시대 성곽. 복합식 산성.
유적
건립 시기
삼국시대
둘레
1,384m
면적
207,745㎡
소재지
충남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 산3번지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서천 건지산성(舒川 乾芝山城)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충남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 산3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건지산성은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건지산에 축조된 성곽이다. 테뫼식과 포곡식이 결합된 복합식 산성이다. 백제 부흥군의 마지막 거점이었던 주류성으로 비정되기도 하는데, 출토 유물을 통해 12세기 이후 포곡식 산성이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성의 규모는 테뫼식 산성이 둘레 350m, 포곡식 산성이 1,384m이다. 성내에는 건물지를 비롯하여 우물지, 여단지, 군창지, 봉서사 등이 남아 있다.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위치한 삼국시대 성곽. 복합식 산성.
건립 경위

건지산성은 금강 하류에 위치하면서 수륙 교통의 요지에 자리하고 있다. 이로 인해 테뫼식 산성이 백제 사비기 및 멸망 후 백제 부흥군의 거점 성으로 운영되었던 것으로 추정되기도 하나, 아직까지 구체적인 유물이나 실체는 확인된 바 없다. 다만 포곡식 산성 성벽 내에서 출토된 기와청자를 통해, 포곡식 산성은 12세기 이후 초축된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변천

건지산성과 관련해서는 『세종실록지리지』에서 “건지산성(巾之山城)이 군의 서쪽 1리에 있다. 2분이 토성(土城)이요, 1분이 석성(石城)인데, 험조하다. 둘레가 5천 3백 77보이며, 안에 샘 5가 있는데 겨울이나 여름에도 마르지 아니하며, 군창이 있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금훼페(今毁廢)’라 하여 중종산성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했음을 보여 준다. 그 후 『충청도읍지』를 비롯한 각종 지리지에도 ‘금폐지(今廢址)’라고 기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건지산성에 대한 조사는 1999년 동벽과 서벽, 동문지와 수구지 등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조선 후기 건물지 1동이 확인된 바 있다.

형태와 특징

건지산성은 한산진산인 건지산 정상부에서 산자락에 걸쳐 축조된 산성으로,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 일대에 위치하고 있다. 성은 테뫼식과 포곡식이 결합된 복합식 산성으로, 테뫼식 산성이 기능을 상실한 후 포곡식 산성이 축조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성의 규모는 테뫼식 산성이 둘레 350m, 포곡식 산성이 둘레 1,384m이다. 성내에는 건물지를 비롯하여 우물지, 여단지, 군창지, 봉서사 등이 남아 있다.

포곡식 산성에 대한 성벽 발굴 조사 결과, 동쪽 벽은 성벽을 중심으로 외호(外濠)와 내호(內濠)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는 흙과 돌을 섞은 토석 혼축 방식으로 조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쪽 벽은 삭토 기법으로 조성되었는데, 생토면을 편평하게 정지한 후 그 위에 다짐토를 성토하여 축조되었다. 건물지의 경우, 오랫동안 경작지로 사용되면서 많이 훼손되었다. 그곳에서는 각종 기와를 비롯하여, 분청사기, 백자, 토기, 상평통보 등이 출토되었다.

의의 및 평가

쓰다 소키치〔津田左右吉〕 등 일본 학자에 의해 ‘주류성(周留城) 한산설’이 제기된 이래, 건지산성은 백제 부흥군의 마지막 거점이었던 주류성으로 비정되어 왔다. 하지만 근래에는 ‘주류성 부안설’이 대두되면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건지산성은 금강 하류의 수륙 교통 요충지에 위치한 군사적 거점이었으며, 한산 읍성 축조 이전에 한산 지역을 다스렸던 중요한 지방 거점성으로서 기능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원전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단행본

『건지산성』(충청매장문화재연구원, 1998)
『한산건지산성』(충청매장문화재연구원, 2001)
김영관, 『백제부흥운동연구』(서경문화사, 2005)
『한국고고학 전문사전 성곽봉수편』(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