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2책. 연활자본. 현손 여해(汝海)에 의하여 편집되고, 곽종석(郭鍾錫)에 의하여 교정된 것을, 1959년 5대손 회근(晦根)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황(金榥)의 서문과 권말에 회근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수에 목록이 있고, 이어서 권1에 시 244수, 권2에 서(書) 19편, 권3에 잡저 2편, 기 3편, 명 1편, 봉안문 5편, 제문 7편, 상량문 1편, 통문(通文) 1편, 행장 2편, 묘갈명 3편, 권4는 부록으로 만사·제문·장초(狀草)·행장·묘갈명·비지명(碑誌銘)·발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독서 후의 감회를 읊은 것이 많은데, 그 가운데 「독논어(讀論語)」에서는 독서를 농사짓는 일에 비유하였고, 「관서유감(觀書有感)」은 『대학』·『중용』을 읽은 뒤 성(誠)·경(敬)의 심오한 뜻에 찬탄하는 내용이다. 「종국(種菊)」은 도잠(陶潛)의 의경(意境)을 흠모하는 내용이다. 시어가 평이하고 은둔·자락의 정서가 담겨 있다.
서(書)의 「상입재정선생(上立齋鄭先生)」 별지(別紙)에서는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의 분대(分對)·상관관계 등에 대한 의문을 『중용』의 장구 해석에 국한시켜 제기하고 있다.
잡저의 「입재설사지(立齋說私識)」는 정종로의 호에 관한 견해를 기록한 것이며, 「반매설(盤梅說)」은 매화나무를 집안에 기르면서 터득한 재배기술과 마음가짐을 설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