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용 ()

죽창유고
죽창유고
유교
인물
조선 중기에, 김화현감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대수(大受)
죽창(竹窓), 저도(楮島)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69년(선조 2)
사망 연도
1601년(선조 34)
본관
능성(綾城)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김화현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김화현감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능성(綾城). 자는 대수(大受), 호는 죽창(竹窓) · 저도(楮島). 아버지는 좌찬성을 지내고 능안부원군(綾安府院君)에 추봉된 구사맹(具思孟)이며, 어머니는 평산신씨(平山申氏) 증영의정 신화국(申華國)의 딸이다. 사승관계(師承關係)는 미상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90년 주1에 합격, 1598년 김화현감을 역임하였다. 임진왜란 때에는 권필(權韠)과 함께 상소하여 강경한 주전론을 펴, 주화(主和)하는 두 상신의 목을 벨 것을 주청했다. 현감으로 3년간 재직 중에는 백성을 구제하는 데 주력, 선정을 베풀어 치적을 올렸다.

그는 시재가 뛰어나 당시 시문으로 명성이 높았던 권필 · 이안눌(李安訥) 등과 교분이 매우 두터웠으며 서로 창화(唱和)한 시를 많이 남겼다. 그가 지은 시 가운데는 시인으로서의 섬세한 감정을 표현한 감회 · 서경 · 애정을 주제로 한 것뿐만 아니라, 임진왜란이라는 큰 전쟁을 직접 겪은 사람으로서의 고뇌와 갈등의 현실고발을 주제로 하는 비판 · 풍자시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차천로(車天輅)는 그의 시에 대해 “봄바람에 움직이는 버들가지의 풍광과 같이 아름답고, 물 위에 피어나는 연꽃이 달그림자를 받음과 같이 청수하다”고 평하였다. 그가 33세의 이른 나이로 세상을 떠나자, 권필은 그의 고고한 시재를 몹시 아쉬워하며 유고를 편집하고 서문을 붙였다. 저서로는 주2 2책이 있다.

참고문헌

『죽창유고(竹窓遺稿)』
『황명만력18년경인10월초6일상존호증광사마방목(皇明萬曆十八年庚寅十月初六日上尊號增廣司馬榜目)』(『청좌부군방목(淸坐府君榜目)』, 대전시립박물관).
주석
주1

생원 급제 : 『황명만력18년경인10월초6일상존호증광사마방목(皇明萬曆十八年庚寅十月初六日上尊號增廣司馬榜目)』(『청좌부군방목(淸坐府君榜目)』, 대전시립박물관).

주2

구용 저술 : 『죽창유고(竹窓遺稿)』(국립중앙도서관 한古朝46-가1348)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