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암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최옥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7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최옥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7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판본. 1927년 그의 증손 한수(翰壽)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말에 최현필(崔鉉弼)의 발문과 한수·서익수(徐翊洙) 등의 후지(後識)가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3에 사부(辭賦)·시·상량문, 권4에 서(書), 권5에 서(序)·기·발·제문, 권6에 제문·잠·명, 권말에는 부록으로 묘지명·행장·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와룡담부(臥龍潭賦)」는 주자(朱子)가 지은 「백록동부(白鹿洞賦)」의 운자(韻字)를 써서 수석(水石)과 국죽(菊竹)을 벗 삼아 사물을 대함에 일어나는 심회를 피력한 작품이다.

이 책에는 대부분 시가 수록되어 있는데, 비교적 차운과 서정시가 많다. 특히 「봉독천명도설감음(奉讀天命圖說感吟)」은 천명·오행·이기·인심·도심·성정·선악·기질 등의 제목을 붙여 읊은 것으로, 도학자적인 지취가 담긴 작품이다. 그리고 스승인 이상원(李象遠)·정종로(鄭宗魯)와 권이복(權以復) 등 당시 명현들에 대한 만사도 있다.

「어부사발(漁父辭跋)」은 이황(李滉)이 지은 「어부사」에 대한 발문으로 「어부사」를 기생에게 노래로 부르게 하고, 황창랑(黃倡郎)·처용(處容)의 춤을 추게 하면서 이 소리를 들으면 마치 신선의 음악을 듣는 듯 귀가 번쩍 트일 것이라고 극구 찬양을 하고 있다.

「퇴계언행록발(退溪言行錄跋)」은 권두경(權斗經)이 엮은 이황의 『언행록』에 대해 쓴 발문이다. 이황의 일거일동 언행을 연구하려면 이 책을 보아야 한다면서, 이 언행록은 『노논어(魯論語)』의 「향당편(鄕黨篇)」과 같다고 강조하였다.

별도의 필사본 『근암유고(近庵遺稿)』가 1979년 아세아문화사에서 영인, 간행되었다. 이 목판본과 필사본의 내용을 보면 상당한 차이가 나며, 특히 필사본에 나오는 잡저 가운데 시정을 논한 글이 목판본에는 모두 빠져 있어 편집 과정에서 산삭(刪削)했음을 알 수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