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송익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송익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석인본. 1938년 후손 송태섭(宋台燮)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준필(宋浚弼)의 서가 있고, 권말에 송종술(宋鍾述)의 발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261수, 권2에 소 2편, 책 1편, 서(書) 22편, 권3에 서(書) 59편, 권4에 잡저 6편, 서(序) 2편, 기 2편, 발 7편, 잠 7편, 명 2편, 찬(贊)1편, 축제문 11편, 뇌문 2편, 행장 2편, 유사 1편, 전(傳) 1편, 부록으로 행장 1편, 묘갈명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시상이 고고하고 시어가 청아한데, 그 중에서도 「영송간정십경(詠松澗亭十景)」은 그의 시재를 대변할 수 있는 역작이다. 소 2편은 척사소로, 김홍집(金弘集) 등이 수신(修信)을 주창하며 서학을 수입하고자 하는 것은 나라를 망치려는 행위라고 하는 내용이다.

「응지삼정책(應旨三政策)」은 삼정의 부당함과 대책을 밝힌 짧은 책문이다. 설의 「관기문지기인지지설(觀其文知其人之志說)」은 글은 사람의 뜻을 표현하는 것이며, 사람에 따라 다르게 표현하므로 글을 보면 글쓴이의 뜻을 미루어 알게 된다는 내용이다.

서(序) 중 「향음예계안서(鄕飮禮契案序)」는 향음은 선비들의 행위에 불과하지만, 나라를 편하게 하고, 천하를 다스리는 대도로서 왕도임을 강력히 주장하였다. 잠 7편은 모두 덕성·문학(問學)·극기·성의(誠意)·주경(主敬)·관악(觀岳)·자경(自警) 등 수양의 내용이다.

집필자
윤혁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