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김씨 예안파 종가 전적 ( )

광산김씨 예안파 종가 전적
광산김씨 예안파 종가 전적
유교
문헌
국가유산
광산김씨 예안파 종손가에 소장된 유학서. 종가유물.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광산김씨 예안파 종가 전적(光山金氏 禮安派 宗家 典籍)
분류
기록유산/전적류/전적류/전적류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90년 03월 02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광산김씨 예안파 종손가에 소장된 유학서. 종가유물.
서지적 사항

199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전적 10종 58책과 서첩 3책 등 총 13종 61점이 경상북도 안동의 한국국학진흥원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광산김씨 예안파 종손가의 문중에 전하는 전적과 서첩 중에서 보물 제1019로 일괄 지정된 목록은 다음과 같다.

  1. 전적

① 서전(書傳): 7책(5·6·10책 결본). 목판본. 조선 전기 간본으로 김부의(金富儀)의 소장인이 찍혀 있는 수택본(手澤本)이다.

② 송조명신언행록(宋朝名臣言行錄): 17책. 경자자복각본(庚子字覆刻本). 청도군수 이윤(李胤)이 청도에서 개간(開刊)한 것으로 1502년(연산군 8)경에 인출된 것이다.

③ 매월당집(梅月堂集): 10책(권12~13, 1책결). 재주갑인자판(再鑄甲寅字版). 1583년(선조 16)에 인출된 것이다.

④ 점필재집(佔畢齋集): 23권 5책. 목판본. 임진왜란 이전에 간출된 것이다.

⑤ 역대명감(歷代明鑑): 홍귀달(洪貴達) 등 찬집. 6책(권4∼권7, 1책결). 갑인자본. 1499년(연산군 5)에 인출된 것이다.

⑥ 주자대전(朱子大全): 2책(목록, 권49·권50). 을해자혼입보자본(乙亥字混入補字本). 1543년(중종 38)에 인출된 것이다.

⑦ 논어집주(論語集註): 19권 3책. 재주갑인자본. 선조 전기에 간행된 것이다.

⑧ 주자실기(朱子實記): 12권 5책. 목판본. 중종∼명종 연간에 간행된 것으로. 김부필(金富弼)의 인장이 찍혀 있는 수택본이다.

⑨ 징비록(懲毖錄): 2책(현존 권2·권5). 목활자본. 임진왜란 이후의 간본으로 초간본이다.

⑩ 근사록(近思錄): 1책(권3∼권5). 초주갑인자본. 김부필의 소장인이 찍힌 수택본이다.

  1. 서첩

① 퇴도선생유묵(退陶先生遺墨): 필사본. 첩장본 1책. 1553년(명종 8)에 이황(李滉)이 글을 짓고 손수 필사한 김효로(金孝盧)의 묘갈명으로 총 8장 17면으로 되어 있다. 1면에는 4줄 10자로 선을 긋고 그 안에 글을 적었다.

② 퇴계선생서법(退溪先生書法): 1책. 이황이 송나라 때의 학자 소옹(邵雍)의 시를 쓴 것으로 법첩(法帖)으로 사용된 듯하다.

③ 별시첩(別詩帖): 1첩. 필사본. 김연(金緣)이 영천군수로 부임할 때 동료 및 선후배들이 지어준 작별시를 모아 첩장(帖裝)한 것으로 조광조(趙光祖)·성세창(成世昌)·이자(李耔) 등 중종 때의 명현들의 자작 자필들이다. 김연은 강원관찰사 등을 지냈다.

의의와 평가

여러 종류의 전적들과 서첩들은 모두 조선 전기에 인출된 것이거나, 명현들의 필적이 담긴 것들로, 서지학 연구와 서예 연구에 귀중한 연구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광산금씨예안파종가소장전적』(임창순·최순희, 문화재관리국, 1990)
집필자
이정섭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