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벌 종가 유묵 ( )

목차
관련 정보
권벌 종가 유묵 중 허목 편액 제자
권벌 종가 유묵 중 허목 편액 제자
가족
문헌
문화재
조선전기 문신 · 학자 권벌의 종손가(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유곡리)에 소장된 서첩, 필첩 등의 유묵. 종가유물.
목차
정의
조선전기 문신 · 학자 권벌의 종손가(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유곡리)에 소장된 서첩, 필첩 등의 유묵. 종가유물.
개설

이 유묵들은 1986년 보물로 지정된 8종 14점이다.

[내용]

그 지정된 목록과 내용 개요는 다음과 같다.

① 김구진묵(金絿眞墨): 지본족자. 조선 전기 4대 명필의 한 사람인 김구가, 1519년(중종 14) 6월 기묘사화에 연루되어 예조참판에서 삼척부사(三陟府使)로 좌천되어 나가는 권벌에게 증별(贈別)로 써서 준 것이다. 세로 98.7㎝, 가로 47.6㎝의 크기에 왕발(王勃)의 『별설화시(別薛華詩)』를 초서체로 쓴 족자이다. 김구의 진묵은 극히 희귀하며, 특히 대초(大草)는 처음 발견된 것이다.

② 허목청암정편액제자(許穆靑巖亭扁額題字): 지본권자. 1682년(숙종 8) 전서(篆書)의 대가인 허목이 권벌의 정자인 청암정의 편액을 써준 것이다. ‘청암수석(靑巖水石)’ 네 자는 전서체로 가로 쓰고, 아래에 해서체로 소지(小識) 세 줄을 쓰고 있다.

③ 장필진묵(張弼眞墨): 세 폭. 명 성화(成化)∼홍치(弘治) 연간의 문장가이며 초서의 대가로 불리던 장필의 진묵 두 폭에 권벌의 5세손 두인(斗寅)·두경(斗經) 자작자필의 후지(後識) 한 폭이 첨부된 총 세 폭의 대족자이다. 1539년 권벌이 개종계주청사(改宗系奏請使)로 연경에 갔을 때 구입해온 것이다.

제1폭에는 송나라의 학자 정호(程顥)의 추일(秋日)이라는 칠언율시를, 제2폭에는 당나라의 시인 양거원(楊巨源)의 수우부마(酬于駙馬)라는 칠언율시를 초서체의 대자로 썼으며, 제3폭은 두인·두경의 지기이다. 장필의 초서는 우리나라 서예, 특히 초서에 많은 영향을 끼쳤던 것인만큼 초서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그의 작품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에도 극히 드물다.

④ 이황서첩(李滉書帖): 1책(5절). 첩장. 이황이 고시(古詩)를 초서체로 썼다. 이황의 글씨는『퇴도선생필법(退陶先生筆法)』이 1971년 보물로, 『퇴우이선생진적(退尤二先生眞蹟)』이 1975년 보물로 각각 지정된 바 있다. 표지는 ‘퇴도선생서(退陶先生書)’이다.

⑤ 허목전서(許穆篆書): 1책 (5장). 지본. 1681년 가을에 허목이 연천(漣川)을 방문한 권두인에게 써준 것으로 단서지계(丹書之戒)·장명(杖銘)·반명(盤銘)·감명(鑑銘) 등을 전서체로 쓰고, 뒤에 그의 조카 허하(許嘏)를 시켜 전서 내용을 예서체로 썼다.

허목의 글씨로는 그의 수고본인『동해비첩(東海碑帖)』1책,『금석운부(金石韻府)』2책,『고문운부(古文韻府)』9책 등 12책이 일괄하여 1975년 보물로 지정된 바 있으며, 이 전서는 그의 87세 때의 작품으로 귀중한 자료이다.

⑥ 권벌수적(權橃手蹟)·선현수적(先賢手蹟): 한쪽에는 권벌의 수적 4편을, 배면은『선현수적』으로 황보인(皇甫仁)·이수광(李睟光) 등 7명의 필적을 작첩한 것이다.

⑦ 암장고적(巖藏古蹟): 5책. 유순(柳洵)·성수침(成守琛)·이현보(李賢輔)·이황 등 15∼16세기의 명인 34명의 간찰(簡札)·시고(詩稿)를 모아 작첩한 서첩(書帖)이다.

⑧ 원장고적첩(院藏古蹟帖): 1책. 선조∼현종 때 권벌을 제향한 봉화(奉化)의 삼계서원(三溪書院)에 관한 사제문(賜祭文), 김성일(金誠一)·정구(鄭逑) 등의 간찰을 모아 작첩한 것이다. 이 8종의 유묵들은 서예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김구의 초서족자, 이황의 서첩, 허목의 미수전, 장필의 초서족자 등은 개별적으로도 문화재로 지정할 만한 가치가 있는 작품들이다.

의의와 평가

이 유묵들은 명현의 필적으로서 서예적 가치뿐만 아니라, 권벌 및 그의 자제들의 교유관계와 당시 사대부들의 시문 활동상도 아울러 살필 수 있는 소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충재권벌종손가소장문화재조사보고서』(천혜봉·이정섭, 문화재관리국, 1985)
집필자
이정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