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김씨 예안파 종가 고문서 ( )

목차
관련 정보
광산김씨 예안파 종가 고문서
광산김씨 예안파 종가 고문서
조선시대사
문헌
국가유산
광산김씨 예안파 종손가에 소장된 문서. 종가문서.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광산김씨 예안파 종가 고문서(光山金氏 禮安派 宗家 古文書)
분류
기록유산/문서류/문서류/문서류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90년 03월 02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광산김씨 예안파 종손가에 소장된 문서. 종가문서.
내용

7종 429점. 199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고려 때 김련(金璉)의 호구단자를 비롯해 1481년(성종 12)의 교지(敎旨), 1567년(명종 22)의 소지(所志), 세종연간의 분재기(分財記), 1477년(성종 8)의 명문(明文) 그리고 입양문서, 예장지(禮狀紙) 등을 지정한 것이다.

① 교지·교첩(敎牒)·차첩(差帖): 82점. 1481년(성종 12) 김효로(金孝盧)의 장사랑(將仕郞) 교첩을 비롯해 김연(金緣)·김부의(金富儀)·김해(金垓)·김부필(金富弼) 등 김씨 일문의 역대 홍패 교지 및 고신·교첩.

② 호적단자: 43점. 광산김씨의 시조 김흥광(金興光)의 14대손 김련의 고려 때 호구단자를 비롯해 1636년(인조 14) 김광실(金光實)의 호구단자 등 고려 말기에서 1897년까지 김씨 문중의 호구단자.

③ 입양입안문서(立養立案文書): 4점. 김효로를 김효지(金孝之)에게 계후하는 것을 승인하는 1480년(성종 11) 예조입안(禮曹立案)과 1483년 사헌부입안(司憲府立案), 1627년(인조 5) 김렴(金Ꜿ)의 입양에 관한 예조입안.

④ 소지: 91점. 1567년(명종 22) 김부필이 예안현감에게 올리는 소지를 비롯해 김면(金愐)·김상(金瑺)·김노헌(金魯憲) 등 김씨 일문이 각종 사건에 대해 관찰사·어사·성주에게 올리는 소지.

⑤ 분재기: 45점. 세종 연간에 김무(金務)가 자손에게 분급(分給)하는 노비분급기, 1464년(세조 10) 노응(盧應)이 외손자 김효로에게 노비를 급여하는 문기를 비롯해, 성종연간에서 영조 때까지 김씨 일문의 노비·토지 등 분재문서.

⑥ 명문: 154점. 1477년(성종 8)에서 1909년까지 김씨문중에서 매매되어온 가옥·전답·노비 등의 매매문서,

⑦ 예장지: 10점. 1562년(명종 17)에서 1886년(고종 23)까지 김부의·김기동(金基東) 등 김씨 일문의 혼사(婚事) 예장지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의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소장하고 있다.

참고문헌

『광산금씨오천고문서지정조사보고서(光山金氏烏川古文書指定調査報告書)』(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2)
『광산금씨예안파종가소장고문서(光山金氏禮安派宗家所藏古文書)』(최순희,문화재관리국, 1990)
집필자
이정섭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