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우부승지, 강원도관찰사, 경주부윤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자적(子迪), 자유(子裕)
운암(雲巖)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87년(성종 18)
사망 연도
1544년(중종 39)
본관
광산(光山)
주요 관직
경주부윤
정의
조선 전기에, 우부승지, 강원도관찰사, 경주부윤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자적(子迪) 또는 자유(子裕), 호는 운암(雲巖). 할아버지는 김회(金淮)이고, 아버지는 생원 김효로(金孝盧)이며 어머니는 이지(李持)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10년(중종 5) 생원시·진사시의 양과에 급제하였다. 1519년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부정자(承文院副正字)가 되고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을 거쳐, 1524년 정언(正言)이 되어, 당시 권신으로 횡포를 부리던 김안로(金安老)의 비행을 논박하여 파직시켰다.

그리고 자신도 노부모 봉양을 구실로 귀양(歸養)을 요청하여 근읍의 수령으로 나갔다. 그 뒤, 지평(持平)에 올랐는데 이때 김안로 일당인 심언광(沈彦光)·채무택(蔡無擇) 등이 김안로를 복직시키려 하자, 이언적(李彦迪)과 함께 이를 끝까지 반대하여 김안로의 미움을 샀다.

1531년 김안로가 다시 실권을 잡으면서 반대파를 제거할 때 경성통판(鏡城通判)으로 좌천되었다. 그러나 1537년 김안로가 주살되고, 그 일당이 축출되면서 사간으로 다시 발탁되었다.

이어 1542년 동부승지(同副承旨) 및 우부승지(右副承旨)를 역임하면서, 국왕의 측근에서 특히 농정(農政)에 관심을 보였다.

강원도관찰사에 제수되어 당시 한발이 심해 폐단이 많았던 영동지방에 대한 구황사업(救荒事業: 자연재해로 입은 백성들을 구제하는 일)에 힘써 도내의 백성들이 모두 치적에 감복하였다. 1544년 경주부윤에 임명되어, 임지에서 죽었다.

참고문헌

『중종실록(中宗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국조방목(國朝榜目)』
집필자
최완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