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신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정언, 집의, 좌승지, 예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순경(順卿)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38년(세종 20)
사망 연도
1499년(연산군 5)
본관
연안(延安, 지금의 황해도 연백)
주요 관직
정언|집의|좌승지|예조참판
관련 사건
무오사화
정의
조선 전기에, 정언, 집의, 좌승지, 예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순경(順卿). 김도(金燾)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관찰사 김자지(金自知)이고, 아버지는 내자시윤(內資寺尹) 김해(金侅)이며, 어머니는 동지총제(同知摠制) 성개(成槪)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62년(세조 8) 식년 문과에 정과로 급제해 승문원권지정자(承文院權知正字)에 보임되었다. 그러나 곧 병으로 여러 해 동안 은퇴했다가 완쾌된 다음인 1464년에 세조의 호의로 풍수문(風水門)에 선발되었다. 이어서 1467년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구성군(龜城君) 이준(李浚)을 좇아 군관이 되어 토벌에 참여하였다.

1472년(성종 3) 정언(正言)이 되고, 아울러 예문록(藝文錄)에 올라 경연에서 활동했으며, 재상 신주(辛柱)의 탐욕하고 거만함을 탄핵하였다. 1477년 지평(持平)을 거쳐 장령(掌令)에 올라, 양성지(梁誠之)·김국광(金國光)·임원준(任元濬) 등을 탄핵해 기강 확립과 풍속 교정에 힘썼다.

1481년 경상도경차관(慶尙道敬差官)으로 파견되어, 파종과 구황 업무를 관장하였다. 이어서 집의(執義)로 승진하고 함경도 경흥에 파견되어, 수령과 만호의 불법적인 처사를 적발하였다. 1485년 세자시강원보덕(世子侍講院輔德)이 되어 세자의 교육에 힘썼다.

이듬해 다시 함경도경차관으로 파견되어 유민 쇄환을 위해 활동을 폈고, 그 이듬해에는 선위사(宣慰使)로 일본사절을 접대하였다. 그 동안의 공로로 이조참의에 올랐다. 1489년 승정원에 들어가 동부승지·좌부승지·좌승지 등을 역임했고, 이듬해 도승지가 되어 국왕을 충실히 보좌하였다.

이어서 경기관찰사가 되어 민정을 총괄했고, 다시 내직으로 옮겨 병조참판을 거쳐 대사헌이 되어 기강 확립에 힘썼다. 특히 왕자와 옹주들의 호사한 저택 풍조를 신랄히 비판하였다. 이듬해 정조사의 부사가 되어 명나라에 갔는데, 사행 중 조공품을 도난당해 고신(告身: 관리의 관직 임명장)을 환수당하였다.

연산군이 즉위해 한성부우윤으로서 『성종실록(成宗實錄)』 편찬에 참여했고, 1496년 다시 대사헌이 되어 언론 기능의 강화와 기강 확립에 힘썼다. 또한 당시 연산군이 생모인 폐비 윤씨의 사묘(私廟)를 세우고자 하자 이를 반대하였다. 1497년 예조참판으로 전임되었고, 이듬해에 무오사화가 일어나자 김종직(金宗直)의 처형을 주장하였다.

1499년 전주부윤으로 농정(農政)과 교육에 힘쓰다가 임지에서 사망하자, 사민(士民)들이 거리에서 곡하는 이가 많았다고 한다. 1504년 갑자사화가 일어나자, 폐비입묘(廢妃立廟: 폐비의 사묘를 세움)를 반대했다는 이유로 추형(追刑: 사후에 추가된 형벌)되었다. 성품이 관대했으며, 행동이 맑고 근실해 군자의 도를 보였다.

참고문헌

『세조실록(世祖實錄)』
『성종실록(成宗實錄)』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국조방목(國朝榜目)』
집필자
최완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