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신사 부도 ( )

목차
관련 정보
귀신사 부도
귀신사 부도
건축
유적
국가유산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산면 귀신사에 있는 고려시대 팔각원당형 석조 불탑. 부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귀신사부도(歸信寺浮屠)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지정기관
전북특별자치도
종목
전북특별자치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4년 09월 27일 지정)
소재지
전북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 205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산면 귀신사에 있는 고려시대 팔각원당형 석조 불탑. 부도.
내용

높이 250㎝. 1974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부도의 기단은 상 · 중 · 하대로 구성되었는데, 하대와 상대에는 세 겹의 연꽃무늬가 덮여 있고, 중대는 팔각형이지만 거의 원형에 가깝다.

탑신석 또한 기단 중대석과 마찬가지로 팔각형이나 가운데가 조금 볼록 나와 있다. 탑신은 일반적으로 통일신라시대의 부도에서 볼 수 있는 문비(門扉 : 문짝)와 자물통 · 사천왕상 등과 같은 장식은 볼 수 없다.

옥개석은 8각형으로 두껍고 투박하지만 각 모서리의 끝부분을 약간 반전(反轉)시켜 경쾌한 느낌을 준다. 옥개석 하단의 서까래장식이나 지붕 위의 기왓골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이러한 옥개석의 단순한 표현기법은 상륜부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앙화(仰花)와 보륜(寶輪) 대신 보주형(寶珠形)의 석재만을 올려 상륜부를 마감하였다.

이 부도의 주인공은 알 수 없으나, 기단부의 상대와 하대에 형식적으로 표현된 연꽃무늬 외에는 장식적인 면이 생략된 채 간단하게 처리되었고, 탑의 전체적인 형식이 고준(高峻)한 것으로 보아 고려 후기의 부도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문화재지(文化財誌)』(전라북도, 1990)
『김제지방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金堤地方文化財地表調査報告書)』(전북대학교박물관, 1985)
『전북문화재대관(全北文化財大觀)』(전라북도, 1978)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최선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