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심사 부도 및 부도전 ( )

목차
관련 정보
완주 안심사 금강계단 전경
완주 안심사 금강계단 전경
건축
유적
문화재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운주면 안심사에 있는 조선후기 석가불타의 사리를 모시기 위해 건립한 불탑. 부도 · 부도전. 시도유형문화재.
시도문화재자료
연계번호
3413501860000
지정기관
전북특별자치도
명칭
안심사부도군
원어
安心寺浮屠群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기타
종목
문화재자료
지정번호
제186호
지정일
2005년 12월 16일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운주면 완창리 22 외 1필지
경도
127.300622369294
위도
36.1094912744208
웹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2_0&ccbaCpno=3413501860000
해제여부
N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운주면 안심사에 있는 조선후기 석가불타의 사리를 모시기 위해 건립한 불탑. 부도 · 부도전. 시도유형문화재.
내용

1984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나 2005년 안심사 부도전의 계단이 보물로 승격 지정되면서 유형문화재에서 해제되었다. 부도의 크기 175㎝. 안심사는 6 · 25전쟁 전까지 30여채의 건물과 주변에 13개의 암자가 있었으나 6 · 25전쟁 때 모두 불타버렸다고 한다.

현재 이 절터에는 석재와 주춧돌들이 대규모로 남아 있어 큰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부도전은 안심사에 전해온 석가불타(釋迦佛陀)의 치아 1개와 10개의 사리를 모시기 위하여 1759년(영조 35)에 건립되었다.

영조가 직접 글을 짓고 글씨를 써서 안심사에 보내 주었으며, 글씨를 보관하기 위해 어서각(御書閣)도 함께 세웠다. 당시 안심사에 있던 명응(明應)스님을 중심으로 수십 명의 시주를 받아 5개월에 걸쳐 부도전을 세우게 되었다고 한다.

이 부도전에는 고려시대에 유행된 석종형 부도를 중심으로 동서남북에 투구와 갑옷을 걸치고 칼을 든 무인상(武人像)을 배치하였다. 이 무인상은 눈썹이 많고 눈은 부릅뜨고 있으며 코는 작은 편이나 우락부락한 모습이다.

부도의 8각 기단부에는 각 면을 2부분으로 구획한 다음 그 안에 안상(眼象)을 새겼으며, 윗면은 복련을 새겨 장식하였고 기단부의 중앙 부분을 원형으로 몰딩(moulding: 테두리장식)한 후 석종형 탑신을 올렸다.

탑신부의 윗부분은 2중으로 연화문을 간략하게 양각으로 표현하였고, 끝이 뾰족한 연봉오리로 상륜부를 마감하여 간략하게 조성된 조선 후기의 부도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문화재지』(전라북도, 1990)
『전주·완주지역문화재조사보고서』(전북대학교박물관, 1979)
『전북문화재대관』(전라북도, 1978)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최선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