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박법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으로 건너오는 일본 선박을 삼포(三浦)에 고루 나누어 정박하도록 규정한 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으로 건너오는 일본 선박을 삼포(三浦)에 고루 나누어 정박하도록 규정한 법.
내용

‘삼포분박법(三浦分泊法)’이라고도 한다. 이 법은 처음에는 흥리왜선(興利倭船 : 商業用의 倭船)에 대해서만 적용되었는데, 뒤에는 사송왜선(使送倭船 : 對馬島主의 使送船 및 기타 지역에서 보내는 使送船과 日本國 王使를 포함하는 모든 使送船)에 대해서도 한정된 포소(浦所)에 정박하도록 하였다.

≪해동제국기 海東諸國記≫ 조빙응접기(朝聘應接紀)에 보면, 세종 때부터 대마도주의 세견선(歲遣船) 50척 중 25척은 내이포(乃而浦 : 薺浦, 熊川)에, 25척은 부산포에, 나머지 제사(諸使)의 선박은 임의대로 삼포에 분박하도록 하였다.

이것은 입항하는 선박이 1개소에 모두 함께 입항하면 혼잡하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한 것이었다. 따라서, 대마도주에게 삼포에 분박하도록 강력히 요구하였고, 도주는 문인(文引)을 발급할 때 정박할 항구를 지정하여 이를 시행하도록 하였으나, 엄격히 지켜지지는 않았다.

참고문헌

『세종실록』
『해동제국기(海東諸國記)』
『日鮮關係史の硏究』(中村榮孝, 吉川弘文館, 동경, 1969∼1970)
「조선초기의 대일통제책에 대한 고찰」(나종우, 『여산유병덕박사화갑기념논총』, 199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