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교 ()

인문지리
개념
모도시(母都市)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교외지역. 교외지역.
이칭
이칭
교외지역
내용 요약

근교는 중심도시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교외 지역이다. 근교의 사회·경제·문화 활동 모습은 중심도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중심도시와 같은 생활권을 형성하며 중심도시에서 이주해 온 주민이 많다. 근교는 중심도시가 팽창하면서 중심도시에 편입되는 경우도 있다. 근교에서는 대도시를 기반으로 한 집약적인 근교농업이 발전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20㎞(50리)까지를 근교라고 하였다. 그러나 현재 교외 지역의 범위는 중심도시의 규모에 따라서 다양하다. 무질서한 도시화 문제를 관리하기 위해 개발제한구역이 설정되기도 한다.

정의
모도시(母都市)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교외지역. 교외지역.
개설

도시화의 진전에 따라 중심도시에 연접(連接)해 있는 주변지역은 농업적 토지이용은 감퇴하고 도시적 요소가 증가하여 순농촌지역과 순도시지역의 점이지역의 성격을 갖는 교외지역으로 변모하게 된다.

사회 · 경제 · 문화 등 도시적 활동모습이 중심도시와 일상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통근 · 통학권이나 소비적 유동, 또는 토지이용패턴이 촌락지역과는 뚜렷하게 구별되어 나타나는 범위의 지역이다. 실제로는 중심도시와는 동일한 생활권을 형성하게 되며 중심도시에서 이주해 온 주민이 많이 거주하게 된다. 인구유입에 따른 인구와 주택의 증가현상이 나타나고 중심도시의 기능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연원 및 변천

근교를 영어로 'suburb'라고 한다. ‘sub’는 부(副) 또는 준(準), ‘urb’는 도시(都市)라는 의미로, ‘suburb’는 도시에 준하는 곳이라 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근교와 중심도시(中心都市, central city)와의 거리를 16∼21㎞(10∼13마일) 내지 32∼48㎞(20∼30마일)로 보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도읍(都邑)에서 20㎞(50리)까지를 근교, 40㎞(100리)까지를 원교라고 하였다.

교외지역의 범위는 중심도시의 규모에 따라서 다양하나, 교통로와 교통수단의 발달과 생산기술의 보급에 의하여 거리는 확대되어 가고 있다.

또한, 도시와 주변지역이라는 이원적 성격의 이질지역이 사회 · 경제 · 문화적으로 통합되어 중심도시와 주변지역이 하나의 유기적 단위로써 대도시권(大都市圈, metropolitan area)을 형성하게 된다.

현황

서울을 중심도시로 한 수도권의 경우, 광역전철과 도속도로망의 구축과 같은 교통의 발달과 함께 대도시권의 범위는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 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택지개발은 서울시청을 기점으로 15km 이내에서 이루어졌는데, 신도시의 건설이 서울도심에서 15∼25km 거리 사이에 건설되는 것을 계기로 하여 개발권역은 30∼40km로 확장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서울 외곽 순환고속도로 및 수인선 · 중앙선 · 경의선 등의 복선, 전철화에 따라 새로운 권역의 주거타운이 형성되며 교외지역의 외연적(外緣的) 확대가 진행되고 있다. 서울 · 인천을 잇는 경인공업지대와 서울 · 수원으로부터 수원 · 용인을 잇는 경수공업지대 등을 중심으로 공업의 교내화(郊內化)가 탁월하게 나타나며 근로자층의 주거지역이 형성되어 가고 있다.

의의와 평가

도시의 급격한 팽창으로 시가지가 확장되고, 공장 · 학교 등의 도시시설이 도시 바깥쪽으로 진출하며, 주택이 잠입하여 도시적 요소를 더해 가면서 농촌 쪽에서 보면 농지의 감소, 겸업농가(兼業農家)의 증가, 이농화(離農化) 현상과 함께 전통사회적 요소의 분해가 진행되고촌락적 요소가 사라져가고 있는 지역이다. 이러한 변화와 대응해서 근교의 일부지역에서는 대도시를 배후시장으로 한 고등소채와 화훼(花卉) 등의 집약적인 근교농업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근교지역은 중핵도시(中核都市)의 발달에 따라서 항상 밖으로 향하여 이동해 가는 도시화지역이며 도시화의 완료에 의하여 중심시에 편입되어가는 경우가 많다. 또한, 교통기관의 발달과 지가(地價)의 상승에 따라서 근교지역 그 자체가 뚜렷이 연변부(緣邊部)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현대사회의 급격한 도시화의 진행은 도시 중심부에서는 입체적이고 집중적인 도시화를, 근교에서는 평면적이며 분산적인 도시화의 형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근교지역의 변화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부수적으로 무질서한 도시화로 인한 인구 급증 및 토지이용의 황폐화와 도시시설의 불균형한 난립 등의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들을 관리하기 위한 조치로서 도시 주변에 개발제한구역(green belt)을 설정하여 근교지역의 외연적 확대를 제한하고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전 지구적인 세계화 · 국제화 · 개방화 흐름에 맞추어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갖춘 도시를 육성한다는 취지에서 수도권 집중을 억제하기 위한 각종 규제와 그린벨트가 완화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공기업을 이전하여 건설하려는 혁신도시와 수도의 행정기능을 이전하려는 행정중심복합도시가 이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세계화시대의 도시와 국토』(남영우·최재헌·손승호 공저, 법문사, 2009)
「수도권 재창조의 비전과 전략」(국가균형발전위원회, 동도원, 2005)
『수도권 공간 연구』(권용우, 한울아카데미, 2002)
『교외지역』(권용우,아카넷, 2001)
『현대도시론』(강대기, 민음사, 1987)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