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 보살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부산 금동보살입상 정면
부산 금동보살입상 정면
조각
유물
국가유산
통일신라시대의 보살상.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금동보살입상(1979)(金銅菩薩立像(1979))
분류
유물/불교조각/금속조/보살상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79년 04월 30일 지정)
소재지
부산 남구 유엔평화로 63, 부산시립박물관 (대연동,부산광역시시립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통일신라시대의 보살상.
내용

1979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정면을 향하여 가슴을 펴고 단엄한 자세로 직립하고 있다. 광배(光背)와 대좌는 없어졌다. 머리에는 보계(寶髻)가 높이 솟아 있으며, 이마 윗부분에는 좌우대칭으로 머리칼이 표현되었다. 머리 가운데 구멍이 뚫려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보관(寶冠)을 쓰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얼굴은 살이 올라 풍만한 편이다. 약간 치켜 올라간 듯한 가는 눈과 오뚝한 콧날, 잔잔한 미소를 머금은 작은 입 등에는 보살의 자비로움이 잘 표현되어 있다.

신체 또한 얼굴과 마찬가지로 양감이 풍부하며 탄력성 있게 묘사되었다. 풍만한 가슴에서 가는 허리로 이어지는 신체의 윤곽이 부드럽게 표현되어 있다. 자세는 근본적으로 엄격한 좌우대칭형을 이루었다. 그러나 팔과 천의(天衣)의 끝 부분에 변화를 줌으로써 좌우대칭의 딱딱한 분위기를 깨뜨린다.

상체는 나신(裸身)으로 천의 자락이 두 어깨에 걸쳐져 발 아래까지 부드럽게 늘어져 있으며, 왼쪽 천의의 일부분은 끊겨 없어졌다. 오른팔은 구부려 가슴에 대고 왼팔은 자연스럽게 아래로 뻗어 엄지와 중지로 무엇을 잡고 있는 듯 약간 꼬부렸다. 양팔에 아래위로 팔찌를 끼었을 뿐 신체에는 아무런 장식도 하지 않았다.

배 부분에는 가로줄을 그어 풍만함을 강조하였다. 허리에는 치마인 군(裙)을 걸치고 있다. 상의의 주름은 좌우대칭으로, 윗부분은 양쪽에 각각 네다섯 줄의 U자형 주름이 표현되었다. 이어서 다리 아래쪽으로 내려와 길게 U자형 주름을 형성하였다. 불상의 뒷면 허리 부분에 광배를 꽂았던 큰 촉이 남아 있다. 거신광배(擧身光背)를 꽂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의의와 평가

이 불상은 사실에 충실하면서도 육체의 관능적인 미에 흐르지 않고 자비와 위엄을 갖추고 있는 작품으로서, 통일신라 전기 신라인들의 정신력과 완숙한 기법을 보여 준다. 조성 연대는 8세기 중엽에서 후반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1 국보1(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국보』2 금동불·마애불(황수영 편, 예경산업사, 1984)
『한국조각사』(문명대, 열화당, 1980)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