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15.5㎝.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황해도 곡산군 화촌면 봉산리에서 출토된 이 불상은 커다란 주형 거신광배(舟形擧身光背)에 본존인 무량수불(無量壽佛)과 두 보살상이 조각된 형식이다. 광배 뒷면에는 5명의 도반(道伴: 함께 도를 닦는 벗)들이 그들의 스승과 부모를 위해서 아미타불상을 조성한다는 내용의 명문이 적혀 있다.
광배의 중심부에 주존을 배치하고, 그 좌우로 두 보살상을 주존에 비해 현저히 작게 주조하였다. 그리고 두 보살은 광배의 좌우 끝에 겨우 매달린 듯이 처리함으로써 본존을 한결 돋보이게 하는 구도법을 쓰고 있다. 이 점은 두 보살의 위로 본존을 둘러싼 작은 화불(化佛)을 삼각형으로 배치하여 관불자의 시선이 본존불에 집중되도록 처리한 것과, 두신광과 광배의 선묘(線描: 선으로만 그림)를 겹겹의 테두리로 표현한 것 등에서 보다 뚜렷이 나타난다.
본존의 머리는 신체에 비해서 큼직한 편인데 육계 또한 높직하며 얼굴은 살이 붙어 있다. 이런 두툼한 얼굴에 미소를 자연스럽게 띠게 하여 부드러운 느낌을 한층 더해 준다. 이러한 특징은 체구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즉, 강인한 기풍이 줄어들고 유연하면서도 세련된 면이 꽤 나타나 있다. 통견의 법의 역시 누그러지면서 장식적이다. 이는 오른쪽으로 휘어져 내린 U자형의 옷주름 좌우로 뻗치던 날카로운 옷깃이 거의 사라진 경향에서 드러난다. 그리고 대의와 군의의 끝단에 보이는 이중의 장식적 주름들에서도 여실히 드러나 있다.
말하자면 전체적인 불상 형태는 시무외(施無畏)·여원인(與願印)의 특이한 인상, 큼직한 얼굴과 손, 원통형 체구 등 연가(延嘉)7년명금동여래입상의 양식적 특징이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하지만 모든 면에서 더 부드러워지고 원만해진 새로운 면이 나타나고 있다.
좌우의 협시보살은 고졸하면서 큼직한 얼굴, 원통형의 빈약한 체구, X자형 천의 등에서 보다시피 좀 더 고졸하고 도식적이라고 할 그런 인상이다. 이것은 소용돌이치는 불꽃무늬 속에 앉아 있는 화불의 고졸한 처리에서도 그대로 나타나 있다. 그러나 초화문이 새겨진 두신광배의 표현은 새로운 물결을 반영하는 것이어서 신구 양식의 변화 과정을 더듬어 볼 수 있는 훌륭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