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 광덕리 석조 보살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김천 광덕리 석조보살입상
김천 광덕리 석조보살입상
조각
유물
문화재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에 있는 고려시대의 보살상.
이칭
이칭
금릉 광덕동 석조보살입상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80년 09월 16일 지정)
소재지
경북 김천시 감문면 광덕리 산71번지
목차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에 있는 고려시대의 보살상.
내용

198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2.02m.감문면에는 속칭 숫골이라고 불리는 마을이 있는데 그곳 저수지의 뚝 밑에 보살상이 세워져 있다. 하단부가 흙 속에 묻혀 있었으나 현재 발굴되어 연꽃대좌에 서 있는 불상 전체를 확인할 수 있다. 보존상태는 양호하여 아직도 조각이 선명한 수작(秀作)이다.

광배는 원형의 두광과 신광이 따로 얕게 부조되어 있으며 머리에는 장식이 화려한 높은 보관(寶冠)을 쓰고 있다. 이 관에는 삼산형(三山形)으로 구슬을 단듯한 둥근 원을 양각한 무늬가 새겨졌고 관대가 길며 수식(垂飾)의 일부인 돌기가 양측면에 표현되었다. 이러한 점은 10세기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한송사지 및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의 높은 관 형식과 상통하는 특징이다.

눈은 반쯤 뜨고 있으며 눈꼬리가 길고 눈의 위·아래에 선이 깊이 패어 서울 북한산 구기동 마애여래좌상(보물, 1963년 지정)의 눈과 유사하다. 코와 입은 잘 정돈된 단아한 표정을 이루며 귀 역시 손상을 입지 않아 길게 남아 있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새겨졌고 천의는 여래의 통견의(通肩衣)와 같은 형식으로 양어깨에 걸쳤다. 마애조각이어서 여건이 제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옷주름의 표현이 자연스럽고 커다란 연꽃을 든 손과 손가락도 사실적으로 조각하려고 노력한 흔적이 역력하다.

이 보살상의 착의법(着衣法)과 긴 대가 달린 관의 형식, 둥근 어깨 등으로 미루어볼 때 고려 초기 10세기 경에 제작된 작품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석불 돌에 새긴 정토의 꿈』(글 최성은, 사진 안장헌, 한길사, 2003)
『문화재대관』5 보물 3(한국문화재보호협회,대학당,1986)
「여래형 복식착용 보살상의 등장과 전개」 - 청담사지 자씨각 보살상을 중심으로 -(정성권, 『동악미술사학』 22, 동악미술사학회, 2017)
「금릉광덕동마애보살입상」(정영호,『고고미술』99, 한국미술사학회,1968)
집필자
최성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