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1.27m, 대좌 높이 0.96m. 1973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석조비로자나불은 1913년 절 뒤편 금성산 남쪽 기슭의 폐사지(廢寺址)에 매몰되어 있던 것을 수습한 것이다. 치병(治病)과 득남(得男)에 영험하다 하여 민간에서 꾸준하게 예배되어 오다가 1919년 지금의 조왕사를 짓고 주불(主佛)로 모셔졌다고 한다.
불상의 얼굴은 둥근 방형(方形 : 네모반듯한 모양)으로, 살이 많이 오른 풍만한 상호(相好 : 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훌륭한 용모와 형상)를 보여 준다. 두부(頭部)의 검게 칠을 입힌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와 나발(螺髮 : 부처의 머리카락. 소라 껍데기처럼 틀어 말린 모양)은 근래에 다시 보수한 것이다. 그 아래 가늘게 뽑아 올린 양 눈썹에도 채색을 올렸다.
반쯤 뜬 두 눈은 눈두덩의 경계가 분명하며, 그려 넣은 눈자위가 다소 위로 몰린 듯하여 생경한 느낌을 준다. 코는 미간에서부터 길게 내리뻗었으며, 인중(人中)은 아래위를 살짝 눌러 우묵하게 하였다.
가느다란 얇은 입술은 양 끝을 조금씩 당겨 모으고 있으며, 귓밥이 묵직하게 늘어진 귀는 어깨까지 내려온다. 살찐 양 볼이 탄력 있어 보이고 아래턱에도 살짝 주름이 졌다. 삼도(三道)는 생략되었다.
체구는 얼굴에 비해 다소 작은 편이며 결가부좌한(結跏趺坐)한 다리의 너비와 어깨 너비가 거의 같아 전체적으로 보아 경직된 조형감을 보여 주고 있다. 아래로 처진 듯한 좁은 어깨가 다소 왜소한 감을 주며 옷자락으로 뒤덮여 감추어진 양 무릎 또한 양감이 결여된 비사실적인 윤곽을 보여 준다.
수인(手印)은 양손을 몸 앞에서 모아 왼손을 위로 하여 오른손 검지를 감싼 지권인(智拳印)을 결하고 있다. 통통한 손등과 손목에 반해 무릎 위로 포갠 발의 표현에는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있다.
착의 형식은 우견 편단(右肩偏袒 : 오른쪽 어깨가 드러남)한 대의(大衣 : 설법을 하거나 걸식을 할 때 입는 중의 옷)의 양 자락이 길게 무릎 위로 흘러내린다. 그리고 성글게 새겨 넣은 옷자락 무늬의 표현이 소략하다 못해 다소 빈약한 느낌을 주며 상당히 형식화되었다.
대좌는 상 · 중 · 하대석이 모두 방형으로 각기 연꽃잎과 안상(眼像)을 새겨 장식하였다. 불상을 이전하는 도중 백제 양식을 보여 주는 금동불입상 1구가 출토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 이관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