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재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김정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2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김정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석판본. 1932년 그의 문도 박민룡(朴敏龍)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서문과 발문이 없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14수, 권2에 서(書) 41수, 권3에 잡저 8편, 서(序) 5편, 기 6편, 만(輓) 1편, 경(警) 1편, 잠 14편, 계(誡) 2편, 명 2편, 제문 9편, 애사 1편, 부록으로 행장 1편 등으로 구성되었다.

시는 시상이 풍부하며 시흥이 섬세하다. 「백구를 읊은 시」는 백구의 정결함을 찬양하면서, 보인(輔仁)할 벗이 없는 자기의 처지를 비유하여 읊은 것이다. 서의 「상간재선생서(上艮齋先生書)」는 스승에 대한 안부와 예설에 관한 문답이다.

「성설(性說)」은 성동기이(性同氣異)의 설을 주장하며, 맹자·정자·주자의 학설을 인용하여 고자(告子)의 의논에 주장하여 논하고 있으며, 아언(雅言)에 있어서는 57항목에 걸쳐서 관혼상제에 관한 자기의 주장과 고서를 인용하여 간결하고 알기 쉽게 논술하고 있다.

잠은 「심잠(心箴)」·「성잠(性箴)」·「인잠(仁箴)」·「의잠(義箴)」·「예잠(禮箴)」·「지잠(智箴)」·「신잠(信箴)」·「효행잠(孝行箴)」·「덕잠(德箴)」·「정기잠(正己箴)」·「정학잠(正學箴)」·「언잠(言箴)」·「지선잠(止善箴)」 등 오상(五常)의 덕목을 비롯하여 수양에 필수적인 사실을 들어 그 규범을 서술함으로써 교양의 표본으로 제시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