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암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김우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8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김우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2책. 목판본. 1928년 아들 기상(冀相)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김호상(金鎬相)·김세상(金世相) 등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73수, 소 2편, 권2에 서(書) 7편, 잡저 4편, 서(序) 2편, 기 2편, 발 3편, 잠 2편, 명 1편, 상량문 2편, 고유문 2편, 제문 5편, 권3에 제문 11편, 뇌사(誄辭) 3편, 행장·시장 각 1편, 유사 2편, 전(傳) 1편, 부록으로 유사·행장·묘갈명·발 각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차운시·만시·증별시가 대부분이다. 소 가운데 「청우복승사성무소(請愚伏陞祀聖廡疏)」는 정경세(鄭經世)의 문묘배향을 청하는 내용으로, 그의 학문·연원·이력 등을 소상하게 밝혔다.

「청경암금호서원복설소(請敬庵琴湖書院復設疏)」는 허조(許稠)의 금호서원을 복원하게 해줄 것을 청한 것이다. 허조는 개국명상이자 학문종사로 세종묘에 배향되었고, 금호서원은 4백여 년 동안 사액서원이었으니 다시 복원하도록 허가해 줄 것을 강조하였다.

잡저 가운데 「오륜연의(五倫衍義)」는 부자·군신·부부·장유·붕우 등 오륜에 사제(師弟)를 추가하여 각 제목마다 자신의 견해를 부연, 설명한 것이다.

성리학의 이기론에 대한 논술이 한 편도 없는 것은 실천궁행을 으뜸으로 하는 영남지방의 유풍(儒風)에 기인한 듯하다. 조선 말기의 한문학과 그 시대를 산 선비들의 의식을 살펴보는 데 도움이 된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