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삼봉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 선조대 정여립 사건의 연루자 심문 과정에서 언급되었던 가상의 인물.
인물/전통 인물
성별
미상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내용 요약

길삼봉은 조선 전기 선조대 정여립 사건의 연루자 심문 과정에서 언급되었던 가상의 인물이다. 길삼봉을 처음 언급하였던 인물은 정여립의 아들 정옥남이었다. 정옥남은 선조의 친국을 받으면서 사건의 주모자로 길삼봉을 언급하였다. 하지만 여러 사람의 국문 과정에서 그와 관련된 진술이 일치하지 않았고, 이름도 다르게 언급되었다. 이후 길삼봉의 이름이 간간이 언급되었고, 역모를 주도하였다거나 지리산으로 들어갔다는 진술 등이 있었지만, 실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 선조대 정여립 사건의 연루자 심문 과정에서 언급되었던 가상의 인물.
주요 활동

1589년(선조 22) 발생하였던 기축옥사(己丑獄事)의 연루자 심문 과정에서 사건의 주동자도 제시되었던 인물이 길삼봉이다. 사건 발생 후 정여립(鄭汝立)은 아들 정옥남(鄭玉男), 변숭복(邊崇福) 등과 함께 진안(鎭安)의 산골짜기에 숨었으나, 현감(縣監) 민인백(閔仁伯)에게 잡혔다.

이 과정에서 정여립은 변숭복을 먼저 죽이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정옥남은 박춘룡(朴春龍) 등과 함께 궁궐로 압송되었다. 당시 선조는 정옥남을 주1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길삼봉이 주도자로 처음 언급되었다. 1590년에도 길삼봉이 나주(羅州) 사람 임지(林地), 승려 성희(性熙) 등과 함께 송광사(松廣寺) 삼일암(三日庵)에 머물면서 반란을 모의하다가 지리산으로 들어갔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

하지만 이미 기축옥사 당시의 공초 과정에서 길삼봉에 관한 진술이 상충되는 사례가 계속 나타났으며, 실제 이름이 길삼봉이 아니라 최삼봉(崔三峯)이라던 증언도 있었다. 길삼봉의 실체를 확인할 수 있는 증언은 사실상 없는 상황이었다. 조선 조정에서는 길삼봉을 잡기 위해 지리산 지역을 수색하기도 하였지만, 별다른 성과는 없었다.

최영경(崔永慶)은 정여립 사건 당시 길삼봉(吉三峯)으로 억울하게 몰려 옥에 갇혀 있다가 사망하였다. 이 사건 이후 주2들은 정철(鄭澈) 등이 최영경을 길삼봉으로 무고하였다는 점을 강조하며 탄핵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
『선조실록(宣祖實錄)』
『인조실록(仁祖實錄)』

단행본

이정철, 『왜 선한 지식인이 나쁜 정치를 할까』(너머북스, 2016)
주석
주1

임금이 중죄인을 몸소 신문하던 일.    우리말샘

주2

임금이나 어른,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에게 잘못을 고치도록 크게 간함.    우리말샘

집필자
이규철(성신여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