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심문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 세종~세조 대 예조정랑, 평안도판관‚ 종사관 등을 지냈던 문신.
이칭
신숙(愼叔)
청재(淸齋)
시호
충정(忠貞)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08년(태종 8)
사망 연도
1456년(세조 2)
본관
밀양(密陽)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박심문은 조선 전기 세종~세조 대 예조정랑, 평안도판관‚ 종사관 등을 지낸 문신이다. 세종 대 과거에 급제하면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후대에 사육신과 함께 단종 복위를 도모하였다가 실패하여 박팽년·성삼문 등이 처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자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의
조선 전기 세종~세조 대 예조정랑, 평안도판관‚ 종사관 등을 지냈던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신숙(愼叔), 호는 청재(淸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박사경(朴思敬), 할아버지는 박침(朴忱)이다. 아버지는 박강생(朴剛生), 어머니 파평윤씨(坡平尹氏)는 윤승경(尹承慶)의 딸이다. 부인 청주한씨(淸州韓氏)는 한승순(韓承舜)의 딸이다. 박의문(朴疑問), 박절문(朴切問)이 형이고, 박원충(朴元忠)이 아들이다.

주요 활동

1408년(태종 8) 출생하였다. 1436년(세종 18) 친시(親試)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다. 사온서 직장(司醞署直長)과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등을 거쳐 1445년에는 예조정랑(禮曹正郞)으로 재직하였다. 이후 평안도판관(平安道判官)과 종사관(從事官) 등을 역임하였다.

박팽년(朴彭年) · 성삼문(成三問) · 이개(李塏) · 하위지(河緯地) · 유성원(柳誠源) · 유응부(兪應孚) 등이 단종의 복위를 시도하였다가 실패하고 처형되었다는 사실을 전해 듣고 스스로 삶을 마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등에는 그에 대한 기록이 매우 제한적으로 남아 있다. 그의 구체적 행적을 확인할 수 있는 기록은 박규수가 지었던 「충정공박심문신도비명(忠貞朴公審問神道碑銘)」과 가문의 후손들이 지었던 『청재박선생충절록(淸齋朴先生忠節錄)』이다. 박팽년 · 성삼문 등 육신과 단종 복위를 도모하였으나 명나라에 질정관(質正官)으로 다녀오던 중 의주에서 이들의 처형 소식을 듣고 자결한 것으로 되어 있다. 다만 『세종실록(世宗實錄)』에는 사망 기록이, 『세조실록(世祖實錄)』에는 원종공신(原從功臣) 3등에 녹훈된 기록이 남아 있다.

상훈과 추모

순조 대 이조판서(吏曹 判書)로 증직되었고, 1871년(고종 8) 충정공(忠貞公)으로 추증되었다. 1905년 신주를 옮기지 않도록 하는 특전을 받았다.

참고문헌

원전

『국조방목(國朝榜目)』
『세조실록(世祖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이계집(耳溪集)』
『정조실록(正祖實錄)』
『청재박선생충절록(淸齋朴先生忠節錄)』
「충정공박심문신도비명(忠貞朴公審問神道碑銘)」
『환재집(瓛齋集)』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