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재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첨의평리, 삼사우사, 전리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자여(子輿)
송당(松堂)
시호
문간(文簡)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294년(충렬왕 20)
사망 연도
1363년(공민왕 12)
본관
광산(光山)
주요 관직
첨의평리|삼사우사|전리판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에, 첨의평리, 삼사우사, 전리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자여(子輿), 호는 송당(松堂). 중찬(中贊) 김태현(金台鉉)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충선왕 때 문과에 급제해 성균학관이 되었다. 충선왕을 따라 원나라에 갔던 공로로 사복시승(司僕寺丞)에 승진했고, 이어 도관정랑(都官正郎)이 되었다.

1339년(충혜왕 복위 1) 조적(曺頔)이 난을 일으켰다가 죽임을 당한 뒤 충혜왕이 원나라에 잡혀갈 때 호종하였다. 고려에 돌아와서 1340년 군부총랑(軍簿摠郎)이 되고, 이어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에 올랐다. 1341년 판전의시사(判典儀寺事)로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지공거 이군준(李君俊)과 함께 진사를 시취하였으나 강직한 성품으로 간신들의 모함을 받아 파직되었다.

1344년 충목왕이 즉위하자 우부대언(右副代言)이 되고 지신사(知申事)에 올랐다. 대신들이 아부하지 않는다고 모함해 판도판서(版圖判書)에 전임되었다. 그러나 곧 밀직부사·제조전선(提調銓選)을 지내고, 지사사(知司事)에 승진하였다. 1349년 충정왕이 즉위하자 서연(書筵)을 설치하고 그 사부(師傅)가 될 것을 요청했으나 이를 사양하였다.

이에 다시 첨의평리(僉議評理)에 임명되어 인사권을 맡았으나 덕녕공주(德寧公主)의 정사 간섭이 심해 물러났다. 그 뒤 덕녕공주가 여러 차례 불렀으나 이에 응하지 않았다. 1350년(충정왕 2) 삼사우사(三司右使)가 되었는데, 이 때 정방(政房)에서 문선(文選)과 무선(武選)을 총관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건의해 이를 시정하도록 했으며, 전리판서(典理判書)를 겸직하였다.

상훈과 추모

1351년 공민왕이 즉위한 후 12년간이나 은거하며 어머니를 봉양했고, 어머니가 죽자 여막에서 상을 마쳤다. 왕이 이를 가상히 여겨 김광재가 사는 곳을 영창방 효자리(靈昌坊孝子里)라 정표(旌表)하고, 그 마을의 호(戶) 일부에 부역과 조세를 면제해 그에게 이를 봉사하게 하였다. 김광재는 효제(孝悌)에 힘써 생산에 관심이 없었고, 항상 거문고와 글을 가까이 하였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